한국, 유럽서 '노동위험국' 오명 벗었다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우리나라가 '노동위험국'이란 오명에서 벗어났다. 이에 따라 앞으로 덴마크의 아디다스와 푸마 등 유럽 유통 패션 업체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은 까다로운 기업들은 까다로운 노동·환경 감사(BSCI)를 받지 않아도 된다.

29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유럽유통협회(FTA)가 28일(현지시각) 이사회를 열어 우리나라를 노동위험국 리스트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1198개의 유럽 대형 유통그룹과 글로벌 브랜드로 구성된 유럽유통협회는 국제노동기구(ILO)의 협약이행수준과 국제연합(UN)의 인간개발지수 등을 감안해 우리나라를 노동위험국으로 분류해왔다. 유럽으로 수출하는 노동위험국 소속 기업들은 바이어의 요청에 따라 BSCI 감사를 받아야 하며 감사를 거부하거나 계속 불합격하면 거래를 중단하도록 압력을 받는다.유럽유통협회는 유럽에 제품을 국내에 수출하는 한국기업이 환경과 노동 기준을 지키면서 제품을 생산하는 지 감독해왔다. 국내 기업들은 지난 10여년간 BSCI 감사를 받았고, 올해 1∼9월에만 국내 11개 기업이 BSCI 감사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국내 기업들이 감사를 받는 것은 바이어들에게 한국 기업과 제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주고 코리아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달 국내 한 수출기업이 BSCI에 대한 애로를 접수한 것을 계기로 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공동 대응에 착수했다. 이달 초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사절단 일원으로 브뤼셀을 방문한 한덕수 무역협회장은 유럽유통협회를 방문해 최근 우리나라를 노동위험국에서 제외해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적극적인 민간통상외교로 국격을 높이고 통상의 손톱밑 가시를 제거한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평가"라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