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 "공공의료 투자, 우리가 가야할 길"

박원순 시장 "공공의료 투자, 우리가 가야할 길"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의료 정책은 정치철학과 비전의 문제이며 공공의료 투자는 우리가 가야할 길이다"

박원순 시장은 16일 오후7시 서울대 어린이병원에서 열린 '서울시장이 생각하는 의료의 공공성'을 주제로 한 강의에서 공공의료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투자를 늘리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쿠바와 브라질의 제도를 예로 들며 공공의료 영역은 국가의 경제력 보다는 추진 의지에 성패가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자나라라고 의료제도가 다 좋은 것은 아니며, 쿠바나 브라질처럼 가난하거나 개발도상국인 곳도 공짜로 수술을 해주는 제도 등을 만들어 실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영국이 보건의료제도(NHS)를 런던올림픽 개막식 때 홍보하고 자랑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자부심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국가나 자치단체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가 국민과 시민에 더 가까이 다가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의 공공의료 정책방향으로는, 예방을 강화하고 시민의 삶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여러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체계적인 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은 일상의 삶에 침투해야 한다"며 "예전처럼 거대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보다는 예방과 관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자치구의 빈부에 따라 건강관리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개선안을 내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아직도 재정문제 때문에 필요한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하는 서울시민의 비율이 13.2%에 달해 시장으로서 해야할 일이 많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시의 평균 비만율은 23.7% 수준이지만 동북권역 등이 25%를 넘어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망률도 지역별 편차가 심해 이들 지역에 공공의료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어 "우리 사회가 고도성장을 하면서 서로가 상처를 주는 폭력사회가 됐다"며 "이런 부분을 전반적으로 치유하고 행정적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단순한 치료의 개념을 넘어 치유와 예방이 가능한 사회 시스템의 정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상암동 아파트 단지에서 석달새 6명의 자살자가 나왔다는 얘기를 듣고 대책의 필요성을 느꼈다"며 "아파트를 임대해 공간을 제공했다는 것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복지와 관계, 행복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강연회장 앞에서는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지부 회원들이 서울시립 보라매병원의 선택진료비 폐지와 4인병실 건강보험 적용 등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면서 서울대병원 측과 실랑이를 벌이기도 했다.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