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7차 남북회담에 애타는 개성공단 기업들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경협보험금을 수령한다는 건 결국 (기업) 포기한다는 이야기잖아요. 좀 더 기다려 보려고 합니다. 7차 회담도 열린다고 하니 일단 상황을 보려고요." (개성공단 입주 의류업체 대표)

개성공단 기업에 대한 경협보험금 지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8일, 보험금 수령 여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평소 알고 지내던 기업인들에게 전화통화를 시도했다. 기업 대부분이 경협보험금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한 것 다른 답변이었다. 상당수의 기업이 상황을 더 지켜보거나 수령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명확하게 밝혔다. 이유는 경협보험금 수령이 공장 포기 혹은 더 나아가 개성공단 폐쇄의 전초단계로 해석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경협보험금을 수령할 경우 현지 기업의 투자금에 대한 권리는 남북협력기금으로 이전된다.

이 때문인지 이날 통화를 시도한 기업인 중에서는 "보험은 보험일 뿐"이라며 의미를 축소하거나 "경협보험금 수령을 공단폐쇄로 연결해선 안된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애초에 경협보험금 액수를 너무 적게 신청해 투자금 회수 가망성이 희박한 기업들도 있었다. 한 의류업체 CEO는 "공장 근로자만 400명이 넘는데 받을 수 있는 돈이 1억원 남짓이라 수령을 포기했다"며 "수령하는 것은 알짜 공장을 1억원에 넘기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유는 각양각색이었지만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목소리에서는 공통적으로 정부에 대한 씻을 수 없는 불신이 엿보였다. 정부의 대책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기 때문이다. 한 기업인은 "지자체가 지원해 준 운영자금ㆍ설비자금으로 버티고 있다"며 "중앙정부는 직접 지원도 해 주지 않으면서 금융권 대출만으로 '할 일을 다 했다'며 손을 놓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불신이 정당한 보험금 수령마저도 막는 '벽'이 되고 있는 것이다.

14일 열릴 7차 실무회담에서 남북간 원만한 합의가 이뤄진다면 모든 문제는 해결되지만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는 보장 역시 없다. 정부가 회담 결과와 상관없이 합리적이고 세심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힘써야만 기업들의 신뢰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