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CEO 선별적 교체"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정부는 공공기관 최고경영자(CEO) 교체와 관련, 일괄사표를 받는 방식이 아닌 기관에 따라 선별적으로 판단해 조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언론사 정치부장들과 만찬 간담회에서 공공기관 인사 지연의 이유를 묻는 질문에 "지금 계속해서 절차를 밟아나가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그게 끝나면 결정이 되는 그런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언론에서 이거 왜 이렇게 늦어지느냐 보도도 나오고 해서 그랬는데 그런 절차를 지금 밟고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 꽤 여러 개가 있다"며 "곧 결정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인사 원칙에 대해 박 대통령은 "역시 전문성이 중요하지 않느냐"며 "국정철학에 부합되는 것도 중요하고 그 부분은 어느 정도 틀이 잡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인사 범위와 관련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일괄사표 방식은 정권 초기에나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라며 "공공기관장 인사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사례별)로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장 인사를 이명박정부 때처럼 일제히 사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말이다. 그동안 공공기관 물갈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전후해 기존 CEO를 일괄적으로 퇴진 시키고 후속 인선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 왔다.

대통령 발언과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은 공공기관 인사가 각 공공기관이 소속된 정부부처 장관의 책임 하에 추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각 부처별로 기관장 사퇴 여부는 이미 결정된 곳이 많다. 가스공사, LH공사 등 현재 공모절차를 밟는 곳도 여럿 있다. 새 정부 출범 후 갖가지 이슈가 불거지며 공공기관 인사가 늦어지는 분위기가 지속되자, 이를 청와대의 '암묵적 지시'로 받아들인 자발적 줄사표도 이어졌다.


신범수 기자 answ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