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정치세력화 혼란, 진보정당 책임론 비등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민주노총 대의원 10명 중 8명이 진보정당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노동자의 정치세력화 혼란의 책임은 진보정당에 있다고 생각했다.

14일 민주노총 새정치특별위원회가 지난 2월 15일부터 3월 13일까지 산별노조 및 지역본부 대의원들 1416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혼란에 대해 노조조합원, 노총지도부, 진보정당 등 각 주체가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물은 결과, 진보정당 책임론을 꼽은 응답비율이 더 많았다.진보정당에 책임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9.3%(1135명)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매우 책임이 크다고 평가하는 입장 역시 49.2%로 높게 나타났다. 민주노총 지도부에 책임이 있다는 항목에서는 64.4%(912명)가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진보정당의 노동자 중심성과 노동 가치에 대해 70.0%(991명)가 "실종"됐다고 판단했으며 진보정당이 여전히 노동자 중심성과 노동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11.9%에 그쳤다. "진보정당이 노동조합을 '돈 대고, 몸 대는'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다"라는 질문에는 51.4%가 그렇다(그렇다,매우그렇다)고 답했으며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매우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24.7%였다. 진보정당이 지켜야 할 가장 큰 원칙으로 43.6%가 '노동자 중심성'을 꼽았으며 단결력(18.4%), 도덕성(14.1%), 정책능력(13.1%), 당의 외연확대(3.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보정당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82.4%(1165명)가 긍정적으로 답변했으며, 이 중 62.2%가 '매우 그렇다'고 답변했다. 부정적인 답변은 4.0%(72명)에 불과했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1.8%에 그쳤다. 향후 지방선거, 총선 등에서 민주노총이 어떤 역할을 가장 중심에 둬야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정책연합 등을 통해 노동자의 요구 실현에 주력해야 한다"는 입장이 45.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진보정당들을 지지하되, 진보 후보단일화를 통해 통합적 개입력을 만들어나가야 한다"(26.4%), "새로운 진보정당을 건설해 배타적 지지방침에 기초한 활동을 재개해야한다"(18.6%), "조합원에 맡기고 지지정당을 결정하지 말아야한다"(4.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경호 기자 gung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