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수혜 받는다던 섬유업계, '뚜껑' 열어보니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섬유업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대표 수혜업종으로 꼽혔다. 하지만 FTA 1년 후 결과를 보니 수혜를 받아 매출이 늘었다는 업체는 적은데 줄거나 정체했다는 업체는 평균 대비 많아 중간점검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한미 FTA 1년을 맞아 지난 3일 발표한 '중소기업 대미 수출애로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업종의 경우 응답한 50개 업체 중 38개(76%)가 수출이 줄거나 감소했다고 답했다. 이는 이번 조사 보고서 평균인 68%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것으로, 타 업종 대비 섬유업의 경우 FTA의 수혜가 크게 와닿지 않았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기중앙회의 조사 결과 대미 수출 중소기업의 32%가 FTA 이후 매출이 늘어난 반면, 68%는 매출이 늘지 않았다고 답했다.

당초 섬유산업은 한미 FTA가 발효로 인한 주요 수혜업종으로 꼽혔다. 관세가 철폐되거나 낮아지면서 섬유산업이 중국 이상으로 경쟁력을 갖추게 되고, 수출에도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코트라(KOTRA)도 지난 2011년 8월 보고서에서 자동차부품·기계 등과 함께 섬유를 주요 수혜업종으로 꼽았다.

하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매출 신장이 기대만 못했던 이유는 뭘까. 경기침체로 인해 미국 내 수요가 줄었고(31.6%), 중국 업체 등과 수출시장에서 경쟁이 격화(26.3%)된 것이 주요 이유다. 특히 섬유업종의 경우 관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비관세장벽이 존재한다(10.5%)는 답변이 평균(7.0%)대비 높아 이같은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한미 FTA 체결로 대미 수출이 증가했지만 일부 업종에 편중되었고 중소기업 대미 수출비중이 20%를 밑도는 등 대기업 중심의 수출구조도 여전하다"며 "정부가 FTA 체결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바이어 발굴, 각종 인증 비용 지원, 원산지 증명 등 FTA 활용까지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