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폐쇄?...4.1 만우절 트위터 대란

인터넷 공간 유튜브 폐쇄 등 장난글로 한바탕 소동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지난 31일 새벽 온라인 공간에서는 구글이 유튜브를 폐쇄한다는 메시지가 올라 와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살라 카만가 유튜브 CEO는 1일(현지시간) “2005년 유튜브가 생겨난 이유는 세계 최고의 동영상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며 “최고의 영상으로 뽑힌 작품 외에는 모두 삭제할 것이니 가능한 오늘 밤 안에 많은 동영상을 감상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꽤 자세한 장황 설명까지 덧붙어 있는 탓에 사실로 받아들인 탓에 일부 트위터리안들은 리트윗(RT)해 퍼나르면서 트위터 뿐만 아니라 각종 게시글까지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누리꾼들을 놀라게 했던 유튜브 폐쇄설은 구글의 조금 센 농담이었다. 구글은 매년 만우절 이벤트를 통해 이용자들을 소소한 재미를 제공했다. 지난해에는 크롬 멀티태스킹 모드, 유튜브 DVD 출시, 구글지도 8비트 버전, 일본어 모스부호 입력기 등을 선보이기도 했다.

올해는 유튜브 폐쇄 건 외에도 구글맵에 ‘보물지도’ 기능을 추가하며 “지도를 펼칠 때 찢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당부를 남기기도 했다.이날 오전 트위터 상에는 '일본이 독도를 포기(@bsh***), '일본 총리가 위안부 할머니들께 무릎을 꿇었다군요'(@****ong), '순풍산부인과 연예인 A씨의 자살'(@iit****) 등 각자의 관심사를 반영한 농담이 오갔고 '만우절 거짓말 세 번 날렸는데 속아주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다'며 우울해하는 네티즌도 있었다. 베스트셀러 ‘오체불만족’의 작가 오토다케 히로타다는 “손발이 돋아났다(@h_ototake)”는 글을 남겼다. 손발이 없는 자신의 신체를 오히려 유쾌한 농담의 소재로 활용한 것이다. 이 글은 1만1000건 이상 리트윗(RT)됐고 3000건 이상 관심글로 저장됐다.

반면 몇 년 전까지만 해도 4월 첫째날이면 장난전화로 몸살을 앓았던 소방서에는 최근 허위 신고가 크게 줄었다. 최고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강력한 제재 때문이다.

트위터에는 이날 만우절 장난전화 최고 200만원 과태료(@sny*****), 만우절이라고 소방소서에 나 도지산데하면 안됩니다(@jamieh*****), 만우절이지만 심한 장난은 삼가세요(@dr****)등의 글이 올라왔다.



조유진 기자 tint@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