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온 첫 해외비행시험 성공

수리온 첫 해외비행시험 성공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KUH)이 알래스카에서 저온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국산 항공기가 해외에서 비행시험하기는 처음이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21일 방위사업청에따르면 지난해 12월24일부터 이달 7일까지 알래스카에서 수리온에 대한 저온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수리온은 국내에서 총 3회에 걸쳐 실내 챔버시험을 통해 영하 32도까지 운용능력을 검증받았지만 국내 기상환경 제한으로 실제 환경시험은 영하 23도까지만 실시할 수 있었다. 이번 시험은 수리온의 영하 32도 저온운용능력을 실환경에서 검증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번 비행시험을 위해 수리온은 경남 사천에서 분해해 인천공항까지 육로로 이동했다. 이후 대형수송기로 알래스카 페어뱅크스까지 공중운송한 뒤 현지에서 재조립해 비행시험을 실시했다. 비행시험에서 수리온은 알래스카에서 50여회 비행시험을 거쳐 총 121개 시험항목에 대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저온비행시험을 통해 영하 40도에서 12시간 이상 항공기를 노출시킨 후 진동, 하중 등 계획된 모든 저온운용 시험항목을 검증해 수리온의 저온운용능력이 이상 없음을 확인했다. 방사청은 기상조건이 충족되는 지역을 찾아 북동쪽으로 160여㎞를 이동해 성공적인 시험을 완료했다. 방사청은 이번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영하 23도까지 운용이 제한되었던 수리온의 운용범위를 영하 32도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수리온 저온비행시험의 성공적인 종료로 수리온의 성능에 대해 제기됐던 일부 의혹이 완벽히 해소됐다”며 “혹한에서의 검증된 성능과 안전성으로 수리온은 세계적인 명품헬기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은 현재 군이 운용 중인 UH-1H와 UH-60 헬기의 중간 크기로 1개 분대의 중무장 병력이 탑승해 최대 140노트 이상의 속도로 2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고, 분당 500피트 이상의 속도로 수직 상승해 백두산 높이(약 9000피트 이상)에서도 제자리 비행이 가능하다. 또 기존 운용헬기에 비해 미래 전장 환경에 대비하여 최첨단 4축 자동비행장치 적용 및 조종실의 디지털화로 조종 편의성을 높이고, 자동화된 방어체계를 구축해 조종사 생존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헬기상태 감시장치(HUMS)가 장착돼 안전성과 정비성도 우수하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