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화성 '통합'놓고 진흙탕싸움···왜?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가 1억5000만원을 들여 1년 동안 공동 진행한 '수원ㆍ화성ㆍ오산 지방행정체제 개편 공동연구용역 최종 결과'를 놓고 진흙탕싸움을 하고 있다.

수원시는 화성시가 이번 공동연구용역 주관기관이라는 지위를 이용해 3개 시 '통합' 대신 '상생'쪽으로 결과를 유도했다며 맹비난하고 있다. 반면 화성시는 수원시와 오산시의 최종 의견을 종합해 일부 내용만 수정했을 뿐 큰 골격은 바뀐 게 없다며 반박하고 있다.

15일 이들 3개 자치단체에 따르면 수원시는 지난 12일 한국행정학회가 수원, 오산, 화성 등 3개 시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한 최종 보고내용에 문제를 제기하며 재수정을 요구했다.

수원시는 지난해 11월29일 한국행정학회의 중간보고서 내용을 보면 3개시 통합의 당위성이 강조됐다는 것. 하지만 이 보고서는 한 달 뒤인 지난해 12월21일 최종 보고서가 해당 3개 시군에 전달되고, 같은 달 27일 열릴 예정이던 최종보고회가 올해 2월12일로 연기되면서 내용이 상당부문 수정됐다는 게 수원시의 주장이다.수원시 관계자는 "지난해 중간보고서에서 도출된 결론 중 '장기적 전략으로 통합제시'는 '법ㆍ제도ㆍ환경변화에 따른 통합논의'로, '통합특례 강화 및 광역시 승격을 위한 전략 필요성'은 '향후 법ㆍ제도ㆍ환경변화에 따라 3개시 동반성장의 기반조성 후 논의'로 변경되는 등 3개시 통합의견이 축소됐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중간보고서에서 통합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고, 이 내용을 준용하자고 수원시가 주장했지만 화성시가 이를 일방적으로 무시한 채 최종보고서의 내용을 변경했다"며 "화성시는 최종보고서의 내용이 바뀐 이유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원시는 14일 화성시와 한국행정학회 등에 수원시의 의견을 반영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하지만 화성시는 이에 대해 할 말이 많다는 입장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지난해 12월21일 최종 보고서가 3개 시군에 전달된 뒤 수원시와 오산시 의견을 종합해 최소한 수정만 가했을 뿐 큰 틀은 바뀌지 않았다"며 수원시의 주장을 억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수원ㆍ화성ㆍ오산시는 지난해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통합이 추진됐으나 지역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물리면서 결렬됐다.

특히 지난 6일 수원ㆍ화성ㆍ오산 시민통합추진위원회가 화성시를 상대로 시민의 자율통합 의지를 꺾는 등 공권력을 남용했다며 수원지방법원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한편, 염태영 수원시장과 채인석 화성시장, 곽상욱 오산시장은 15일 모임을 갖고 이번 사태에 대해 의견을 조율할 예정이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