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당선인 1차 내각 인선 살펴보니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박근혜 18대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발표한 1차 내각 인선안을 보면 개혁ㆍ통합형 인사라기 보다는 전문성ㆍ안전성을 중요시한 보수적 인선이라는 평가다. 특히 나이 든 퇴직 관료를 중용한 게 눈에 띈다.
이날 장관 후보자로 발표된 이들은 모두 기존에 해당 부처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관료 출신들이다. 조직에서 떠났다가 친정으로 금의환향한 케이스들이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내정자는 부산고검장을 끝으로 공직을 마친 검사 출신이며, 윤병세 외교부 장관 내정자도 외교통상부 차관보를 지냈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는 행정고시 23회 출신으로 내무부에서 근무하다 인천시 서구청장을 끝으로 공직을 끝낸 뒤 이후 김포군수, 김포 지역구 국회의원 등 정치인의 길을 걸었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도 육사 28기 출신으로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대장)까지 지냈다. 서남수 교육부, 유진룡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는 행시 22회 동기로 각각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문화관광부 차관을 거쳤다.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 역시 법무연수원장을 끝으로 검사 생활을 마감한 공직자 출신이어서 지금까지 발표된 7명의 각료 후보자가 모두 관료 출신들이다.
전체적으로 고령인 점도 특징이다. 6명 장관 후보자의 평균 연령이 59.2세로,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까지 포함하면 60.6세다. 김병권 후보자가 65세로 가장 나이가 많고, 유정복ㆍ황교안 후보자가 56세로 가장 어리다. 노무현 정부 첫 조각 때 54세, 김대중 정부 첫 조각 때 59세보다 나이가 많다. 이명박 정부의 첫 조각 때 장관 평균 나이는 61세였다.
이들은 특히 보수ㆍ안정 성향이어서 박 당신인의 향후 해당 분야 정책 방향을 가늠케 해주고 있다는 평가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박 당선인이 대선 후보 시절 내세웠던 검찰 개혁을 추진해야 할 임무를 띄게 됐다. 박 당선인은 지난해 검찰의 비리 등이 잇따라 발생하자 중수부 폐지 및 상설특검제 도입 등 검찰 개혁 방안을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황 후보자의 경우 검찰 내 대표적 '공안통'으로 검찰내부 논리에 익숙한 보수 성향의 인물로 알려져 있어 검찰 개혁을 주도할 수 있는 적임자인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황 후보자의 내정 사실이 발표되자 대대적인 개혁을 우려하던 검찰 내부에서 벌써부터 안도의 한숨을 내쉰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연합뉴스는 이날 검찰 내부에서는 "사상 초유의 검란(檢亂) 사태로 검찰이 강도 높은 개혁 대상이 된 가운데 검찰 출신의 법무부 장관이 지명된 데 대해 다소 안도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고 보도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내정자,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의 경우 지난 8일 내정된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함께 대북 대화보다는 안보를 중시하는 '매파'로 분류되는 인사들이다. 이에 따라 북한 3차 핵실험 등을 계기로 박 당선인이 대북 대화 중시에서 안보 중시로 정책 방향을 변경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박 당선인 측에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공약을 주도했던 대표적 비둘기파인 최대석 전 인수위원이 불명확한 이유로 자진 사퇴한 바 있다.
지역 안배 등 통합ㆍ탕평형 인사가 아니라는 점도 눈에 띈다. 출신 별로 보면 서울이 3명(황교안, 윤병세, 서남수)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인천(유정복, 유진룡)이 2명이며, 경남(김병관)이 1명이다. 정 후보자의 고향도 경남이다. 수도권과 경남을 제외한 이외 지역에서는 아직 한 명의 장관 후보자도 없었다. 출신 고교는 경기고 3명(황교안, 윤병세, 김병관), 서울고 2명(서남수, 유진룡), 제물포고 1명(유정복)이다. 출신 대학은 서울대가 3명(윤병세, 서남수, 유진룡)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유정복), 성균관대(황교안), 육군사관학교(김병관)가 각각 1명이었다.
후보자 중 4명이 노무현 정부때 고위직을 지냈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 자리를 떠났던 인사들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이명박 정부와는 차별화하려는 박 당선인의 의지를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