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부격차 10년새 최악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지난 2011년 65세 이상 노년층의 소득 불평등을 보여주는 지니계수가 2003년 이후 최고치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의 빈부격차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뜻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셋째로 높은 수준이다.

30일 통계청, 한국노동연구원 등에 따르면 65세 이상 은퇴연령층 가구(2인이상 전국가구)의 2011년 지니계수는 경상소득 기준으로 0.419, 시장소득으로 0.505, 가처분소득으로 0.418로 각각 집계됐다. 시장소득은 경상소득에서 공적 이전소득을 제외한 금액이고, 가처분소득은 경상소득에서 연금ㆍ사회보험 등과 같은 공적 비소비지출을 뺀 것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우리나라 소득불평등 실태에 대한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런 수치는 지니계수 조사가 도시가구에서 전국가구로 확대된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경상소득의 경우 2003년 0.399에서 2011년 0.419로 높아졌고, 시장소득은 0.478에서 0.505로, 가처분소득은 0.405에서 0.418로 각각 상승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시장에서 은퇴한 65세 이상 세대의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의 심각성을 판단하는 기준 0.400을 모두 넘어서고 있다"며 "노년층의 소득분배가 크게 악화돼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노년층의 빈부격차 심화는 소득 상위 20% 계층의 소득을 하위 20% 계층의 소득으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에서도 확인됐다. 경상소득 기준으로는 2003년 8.7배에서 2011년 10.3배로, 시장소득은 22.0배에서 31.1배로, 가처분소득은 9.5배에서 10.8배로 각각 상승했다. 2011년의 각 소득 기준 소득 5분위 배율은 모두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우리나라 노년층의 지니계수는 OECD에서도 가장 높은 그룹에 속했다. OECD가 집계한 2000년대 후반 65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가처분소득 기준)는 0.405으로 OECD 34개국 중 셋째로 높다. 우리나라보다 노년층 지니계수가 높은 국가는 멕시코(0.524)와 칠레(0.474) 두 나라 뿐이다. OECD 평균은 0.299였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