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꾼 "꼼수" vs SKT "오해" 네트워크 표시 논란

SK텔레콤 네트워크 상태표시 설정 둘러싼 설왕설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SK텔레콤 이 자사 가입 스마트폰에 실제 사용망이 아닌 서비스 지역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를 도입한 것을 두고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 범위를 과장하기 위해 SK텔레콤이 꼼수를 썼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SK텔레콤은 "음성통화 시 3G로 표시가 바뀌는 것에 대한 오해를 없애기 위해 옵션을 추가한 것"이라고 항변했다.

24일 인터넷 게시판 등에는 SK텔레콤의 네트워크 상태표시 설정을 둘러싼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해 하반기 SK텔레콤이 네트워크 상태 표시 방법을 '서비스 지역으로 표시'와 '사용중인 망으로 표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 누리꾼들은 SK텔레콤이 '서비스 지역으로 표시'를 기본으로 설정해 LTE 서비스 범위를 과장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이 경우 실제 사용 중인 망과 관계없이 LTE 신호를 잡지 못하더라도 그 지역에 LTE망이 설치돼 있다면 스마트폰의 상태표시에 LTE라고 뜬다는 것이다. SK텔레콤과 달리 KT와 LG유플러스는 실제 사용 중인 네트워크만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SK텔레콤은 이 같은 옵션의 도입이 사용자들의 오해를 없애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LTE망에서도 음성통화를 하면 3G로 표시가 바뀌는데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사용자들이 많아 표시 옵션을 새로 넣었다는 것이다. 음성통화 시 바뀌는 표시 때문에 자신이 있는 지역이 LTE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내놓은 대책이라는 설명이다.



김철현 기자 kc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