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방에서 러브콜, 우정사업본부의 운명은?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차라리 지식경제부에 남고 싶다. 5년 마다 한 번씩 조직을 흔드는 게 말이 되느냐. 이번에 옮기면 5년 후에는 또 어떻게 될지 막막하다."

비정규직을 포함한 4만5000여명의 직원이 일을 하는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 내 분위기는 요즘 이렇다. 지난 15일 공개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새 정부 조직 개편안에 우정청 승격이 빠진 뒤로 우본은 말 그대로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됐기 때문이다.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우본을 지식경제부에 그대로 남기거나 신설 부처 미래창조과학부에 넘기는 두 가지 최종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안전부와 국토해양부 등 다른 부처에서도 우본에 러브콜을 보냈지만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우본 공무원들은 5년 마다 짐을 싸야 하는 자신들의 처지를 비관한다. 무엇보다 우본이라는 조직에 대한 자부심을 정부가 스스로 깎아내리는 형국이라고 입을 모은다. 우본 관계자는 "업무 효율성과 독립성 보장 따위를 떠나 우리 조직의 중요도를 어떻게 책정하고 있는지 따져 묻고 싶은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미래창조과학부에 정보통신기술(ICT) 전담 조직이 생기고 과거 정보통신부 산하였기 때문에 원위치로 복귀해야 한다는 일방적인 논리는 우본 조직에 가혹하다"며 "조직의 안정을 위해서라도 지경부에 잔류하는 것이 차라리 낫겠다"고 전했다. 최소한 지경부에서는 인사 적체 해소를 위해 우본을 이용하지는 않았고 조직 운영에 있어 최대한 독립성을 보장해줬다는 것이다.'우본은 우리 부처와 성격이 맞다'는 각 부처별 '아전인수' 격 해석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속내를 들여다보면 100조원이 넘는 우본의 금융 자산과 우편 업무의 전국적인 네트워크에 매력을 느끼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여기에 인사 적체 해소용으로 우본 껴안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우본 관계자는 "우본이 지경부에 남든, 미래창조과학부로 옮겨가든 앞으로도 본업에 충실하면서 청 승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업무 특성상 우본은 독립성을 보장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혜원 기자 kimhy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