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2지구 백지화.. 4월 지구지정 해제 완료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장기간 표류하던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2지구 택지개발사업이 결국 백지화 수순을 밟는다. 4월 정도에는 지구지정 해제절차가 완료될 전망이다.

6일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지난해 말 인천시가 건의한 검단신도시 2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취소를 받아들여 해제 절차가 진행중이다"며 "주택정책심의회와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통해 4월안에는 해제절차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검단신도시 조성사업은 인천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 인천도시공사가 공동 추진하고 있으나 2지구의 토지보상이 늦어지면서 주민들이 사업 백지화를 요구해 왔다.

검단신도시 2지구 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해 6월 임시총회를 열어 지구 지정 철회요구안을 채택했고 시가 7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2%가 지구 지정 취소를 택했다. 설문조사는 사업 장기보류(2016년 이후 추진), 지구 지정 취소 중 선택하는 방식이다.

총사업비가 4조4000억원에 달하는 검단2 신도시는 지난 2010년 5월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됐다. 당초 인천 서구 대곡동 일대 694만㎡를 개발해 2016년까지 주택 2만1200가구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행자인 인천도시공사와 LH가 보상시기를 2014년에서 2016년 이후로 늦추는 등 사업성이 떨어지자 주민의 반발이 심했다. 일부에선 검단신도시 2지구가 지정 취소될 경우 각종 부작용도 우려하고 있다. 이미 1, 2지구를 통합해 수립한 광역교통대책과 필수기반시설 연계 배치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효율성이 떨어질 것이란 지적이다. 허명 부천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앞으로 2지구에서 개별 및 소규모 개발 사업이 진행되면 충분한 기반시설을 갖추지 못한 채 난개발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검단2지구를 포함한 수도권 서북부 지역 대규모 신도시 축소 방안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하고, 구체적인 조정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진희정 기자 hj_j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