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서울 文부산…마지막 행선지 보면 지역판세 보인다?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대선을 하루 앞둔 18일 박근혜 새누리당,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의 마지막 행선지는 각각 서울과 부산이다.

두 후보의 마지막 행선지를 보면 이들이 생각하는 대선의 판세나 지역별 유불리에 대한 판단을 엿볼 수 있다.대선 여론조사 결과 공표가 금지된 지난 13일 전까지의 여론 추이를 살펴보면, 박 후보는 서울에서 문 후보에게 10%포인트 중반대 안팎의 차이로 뒤지고 있다.

문 후보의 경우 비(非)수도권 대표적 격전지이자 PK(부산ㆍ경남) 지역의 핵심인 부산에서 박 후보에게 크게는 20%포인트 안팎의 차이로 쳐져있다는 게 그간의 여론조사 결과다.

서울과 부산 모두 이번 대선의 향배를 가늠하는 주요 지역이다. 결국 두 후보는 선거운동이 가능한 가장 마지막 순간에, 승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데도 열세인 지역을 각각 찾아 길고긴 선거운동을 마무리하는 것이다.문 후보의 경우 부산에서의 선전이 더욱 각별하다. 민주ㆍ진보진영 후보가 부산 지역에서 보수진영 후보를 앞서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지역구가 부산이고 고향이 거제라서 '부산 사람'에 가깝고 고향이 부산인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가 바람몰이를 해준 덕에 그나마 이 정도의 지지율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 정도면 선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문 후보가 대선 풍향계인 충청지역에서 박 후보에게 다소 밀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도 판세를 자신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문 후보 입장에서는 부산에서 선전할 경우 TK(대구ㆍ경북) 지역에서의 절대적 열세를 어느정도 보완할 수 있다. 문 후보에게 부산은 마지막 선거운동 지역으로 최적의 장소다.

박 후보에게 서울도 비슷한 의미다. 자신에게 불리한 20~40대 젊은 유권자가 몰려있는 서울에서 역전이 아니라 선전만 해도 호남에서 절대적 열세를 다소나마 보완할 수 있다.



김효진 기자 hjn252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