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준 집값 하락땐 '빚독촉 가구' 8배로

일본 수준 집값 하락땐 '빚독촉 가구' 8배로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대 금융硏 스트레스테스트 금융권 만기연장하면 충격 작아
[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주택가격이 1990년대 초반 일본수준으로 떨어지는 상황에서 금융회사가 만기 도래한 대출을 회수하려 한다면 고위험 주택담보대출 가구는 현재의 8배 수준으로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장 민 금융위원회 자문관, 최성호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연구소 연구원은 13일 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 정책심포지엄에서 이 같은 내용의 '우리나라 가계부채, 스트레스테스트' 보고서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1990년대 초반 일본의 주택가격이 36.1% 급락했던 상황을 가정해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 보유가구의 차환위험을 분석했다. 표본 조사의 대상이 되는 가구는 지난 6월 기준 일시상환대출 보유 가구 가운데 1년 이내 대출 만기가 도래하는 가구로 전체 162만9000 가구의 73.6%에 달하는 120만 가구다.

김 교수 등은 주택담보대출 1건만을 소유하고 해당주택에 거주중인 가구를 분석 대상으로 한정하고, 주택가격과 소득, 금리, 낙찰가율 충격에 따른 스트레스테스트를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들 가구를 대상으로 주택가격이 일본 수준으로 떨어지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해 담보인정비율(LTV)이 낙찰가율인 50% 밑으로 낮아진 가구의 만기연장이 안 된다고 봤을 때 고위험군은 현재의 7.02%에서 60%로 8.5배 급등했다.

같은 가정 아래에서 금융회사의 손실률은 은행ㆍ보험권이 0.091%에서 0.621%, 캐피털ㆍ신용협동조합ㆍ저축은행 등이 0.953%에서 7.773%로 치솟았다.

반면에 금융권이 만기연장을 해줄 경우 나타나는 충격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현저히 낮아졌다.

다른 조건이 같다고 봤을 때 금융권이 만기연장을 해준다면 일본 사례처럼 주택가격이 36% 떨어져도 연체율은 0.1%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김 교수 등은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택가격이 급락해도 은행의 상환 요구로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지 않으면 고위험군으로 떨어지는 가구는 거의 없을 것으로 평가했다.

이어 "주택가격이 하락할 때 금융권이 대출 회수에 나서면 연체율은 물론 금융회사 손실률도 급등하는 만큼 시장여건을 봐가며 금융회사들이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면 장기적으로 금융회사 수익과 가계대출 건전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장 민 자문관은 "차주 단위의 실제 부채 자료를 가구단위화한 후 가계부실 위험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노미란 기자 asiaro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