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隣)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隣). '무릇 덕이 있으면 외롭지 않고 반드시 따르는 이웃과 친구가 있다'는 뜻의 논어(論語) 구절이다.

정치의 계절, 자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 구절을 애용하는 사례가 적잖다. 그리 정치적이지 않은 장삼이사도 마찬가지다. 사회적이며 지혜로운 동물, 호모사피엔스가 홀로 외로워서는 삶의 의미를 찾기 어렵다는 점을 본능적으로 알아챘기 때문일 것이다.유력 정치인들, 즉 권력자 곁에는 항상 사람이 따른다. 역사적으로 보면 제갈량으로 대표되는 현자들이 한 축을 이루고, 십상시처럼 평소엔 굽신거리다 결정적 순간에 배신하고 권력을 찬탈하는 무리가 다른 축을 형성한다. 그런데 두 부류 모두 평소엔 이웃이나 친구의 모습을 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나온다. 소설책에서 보여주듯 흑백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도움이 될 참모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적재적소에 맡기는 것이 쉽지 않음을 말해준다.

역사적으로 성공한 리더는 자신의 뜻을 키우고 국민의 안녕을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될 인재를 등용한다. 아쉽게도 현대 역사는 슬픈 모습을 자주 보여줬다. 신뢰한다던 보좌진이 임기가 끝나기도 전에 법적 처벌 대상이 됐으며, 자신마저도 영어에 갇힌 사례가 적지 않았다.

그래서 평소에 아는 사람, 또 그 아는 사람이 아끼는 사람을 중요한 자리에 앉힌다는 것이 얼마나 큰 리스크를 가진 일인지 새삼 깨닫게 된다. 적임이 아닌데도 아는 인물이란 점 때문에 일을 맡겼다가 실패로 끝나면 리더 자신은 물론 그 아는 사람마저도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그렇다고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돌다리 두들겨 건너듯' 재삼재사 됨됨이를 따지고 제대로 일할 수 있게 하면 될 일이다.

권력자일수록, 권력자를 희망할수록 그냥 '아는' '친한' '가까운' 사람이라고 중용해서는 말년이 고달프게 돼 있다. 논어의 이 한 구절, '덕불고 필유린'을 애용한다면 표를 얻는 데만 활용하지 말고 권력자로 등극한 이후에도 필히 써먹어야 할 터다.

장황한 듯한 얘기를 꺼낸 이유는 명확하다. 정치의 계절이어서다. 선택을 통해 권력자들이 탄생할 예정이다. 최고 권력자 아래에 위치할 서브 권력자들이, 또 그 밑의 권력자들을 선택할 것이다. 줄줄이 들어설 그 권력자들은 기존의 판을 깨게 돼 있다.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라는 명분을 대면서 말이다.

그렇다면 그 변화 속에서 국민의 삶, 국가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최고부터 서브 권력자까지 진정성과 도덕성을 갖춘다면 명분을 살리고 목적한 성과를 거둘 것이다. 모두의 희망이다.

최근 한 공기업 사장이 서브 권력자를 선택할 때 중요한 3가지 요소를 강조했다. 서브 권력자는 권력자의 철학을 실천해가는 핵심적 역할이어서 그 못지않은 중요성을 가진다면서 꺼낸 얘기다.

우선은 전문가를 중용하라고 했다. 수많은 일을 믿고 맡기고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다. 또 깨끗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직 전체를 깨끗하게 끌고 갈 능력이 돼야 하며 혼자만 깨끗해선 안 된다는 조건도 달았다. 10원도 받지 않겠다던 최고 권력자 밑에서 천문학적인 돈이 오가는 경우가 적잖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소신과 배짱을 주문했다. 최고 권력자에게 잘못된 바를 바로잡거나 청탁을 물리칠 수 있도록 충언할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치의 계절, 권력자를 따르는 참모 내지 서브 권력자들은 주거와 복지 등 모든 분야에서 국민 모두를 행복하게도, 고달프게도 할 수 있기에 허투루 들을 수 없는 얘기다.



소민호 기자 sm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