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연금 위험관리 취약한 이유는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국내 생명보험사의 최저보증 리스크 관리가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험연구원 11일 '변액연금의 잠재적 위험에 대한 진단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국내 대부분 생보사들은 최저보증 제공에 대한 수수료를 책임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을 뿐 자본시장을 통한 별도 위험관리를 하지 않고 있어 계약자 조기 인출, 헤징 실패에 따른 금융시스템 혼란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최저보증이란 변액연금의 펀드가치가 보증금액을 밑돌 때 보증금액 지급 의무를 보험사에 부과하는 일종의 풋옵션이다.

임준환 보험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국내 생보사의 경우 급증하고 있는 변액보험 판매 추세에 비해 최저보증 위험관리에 대한 전략적 고려가 없다시피하고 있다"며 "보증 위험관리을 위해 자본시장에서 파생상품 구매 등을 통한 능동적 관리에 나서는 회사는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무엇보다 내부적으로 변액연금 최저보증 헤지매매 시스템 구축과 관련 전문인력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를 위해 금융감독당국의 정책적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준환 연구위원은 "위험관리에 대한 요구자본 절감을 인정하는 전향적인 보험감독정책의 도입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며 "그러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최저 사망보험금 보증 등 수동적 위험관리를 넘어 최저 소득액 보증, 최저 부분해약 보증 등과 같은 특약이 추가될 수 있는 옵션들이 도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태진 기자 tj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