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외수 닭도리탕 어원논란, '도리'는 우리말?

[아시아경제 장인서 기자] 작가 이외수의 닭도리탕 발언에 대해 국립국어원이 다른 의견을 내놨다.

최근 이외수는 자신의 트위터에 "상식의 허실-닭도리탕은 일본식 이름이 아닙니다. 참고하시기를"이라는 글과 함께 한 누리꾼의 주장이 담긴 게시물(http://j.mp/yljwKT)을 링크했다.링크된 게시물에는 ""외보도리(오이를 잘게 썰어 소금에 절인 뒤 기름에 볶아 만든 음식)에서 보듯이 '도리'는 순수 우리말로 '잘라내다'라는 말이다"고 주장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이외수는 이 게시물을 토대로 닭도리탕에 쓰이는 '도리'란 말은 일본어 '새(とり)'를 뜻하는 것이 아닌, 닭을 '잘라' 만든 탕이라는 뜻으로 풀이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은 트위터를 통해 "'닭도리탕'의 '도리'가 일본어 'とり'에서 온 것이라 보고 이를 '닭볶음탕'으로 다듬었다"고 밝혔다. 또 '도리다'는 말에서 '도리'라는 단어가 온 것 같다는 주장에 대해 "'도리다'는 '둥글게 빙 돌려서 베거나 파다'라는 뜻으로, 논란이 된 '닭도리탕'은 닭을 도리는 것이 아니라 자르거나 토막 내는 것이므로 '도리다'가 쓰였을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외수의 닭도리탕 논란에 대해 누리꾼들은 "이외수 왜 이러나, 닭도리탕은 도리탕에 닭이 추가된 말이다. 우리말 도리는 도려낸다는 의미로 닭 조각으로 만든 도리탕과는 일치하지 않는다(@yul**)" "이외수가 한마디 하면 쓰러지는 맹종자들, 우리말이 아닌 것을 억측으로 우리말이라 끼워놓으면 어떡하나(@vic**)" "이런 논쟁 별 의미없어 보인다(@jam**)" 등의 의견을 남겼다.



장인서 기자 en1302@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