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폭탄, 저축銀으로 넘어가.. 여신건전성 '우려'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종합대책이 제2금융권의 여신건전성 악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1금융권 대출기준 강화에 따라 저신용 대출자들이 저축은행으로 몰리면서 다중채무와 채무불능에 따른 리스크가 확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수정 SK증권 애널리스트는 25일 "당국의 종합대책 이후 가계대출의 은행예금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비은행예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주장했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가계대출 종합대책 이후 지난해 10월과 11월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규모는 큰 폭 증가했다. 최근 1년 업권별 평균 증가율이 0.5∼1% 수준인 반면, 저축은행은 2%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대해 이 애널리스트는 "은행과 카드사의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가 상호저축은행과 상호금융에서 나타나는 것"이라면서 "최근 저신용 대출자들이 제1금융권의 대출기준 강화로 제2금융권으로 대출이 몰리면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제는 저신용 대출자들이 저소득층의 주택 구입과 같은 고정비 성격의 대출보다 생계비 등 경상 지출을 위한 대출이 늘어나는데 있다"면서 "이러한 저소득층의 대출증가는 제2금융권의 특성상 높은 이자비용으로 인한 가계수지 악화로 시간이 지나면서 부채상환능력이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금융당국의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는 제2금융권의 여신건전성 악화를 가속화 시키며 대출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저축은행 역시 수익성 다변화를 위해 최근 부실화된 부동산관련 기업대출을 줄이고 가계자금을 늘리는 추세"라면서 "작년 부동산PF 부실과 가계대출 규제에 따른 저신용 대출자들의 대출수요 증가가 겹치면서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확산이 과거의 카드사태와 같은 양상을 띄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했다.

그는 "은행과 카드사는 대출규제를 강화하면서 여신건전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현재 위험완충능력도 충분하다"면서 "또한 상호금융과 신협의 예대율은 80%로 유지되고 있으며 담보대출 비중이 높아 가계수지 악화의 직접적인 영향권은 아니기 때문에 제2 금융권의 가계대출 부실에 따른 급격한 재무건전성 악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다만 저신용 대출자의 다중채무 및 채무불이행 문제에 대해서는 우려섞인 전망을 내놨다.

이 애널리스트는 "저축은행의 개인신용대출 확대는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효과는 있겠지만, 저신용 대출자들의 신용대출로 채무불이행 리스크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면서 "다중채무가 많은 저신용 대출자들의 채무불능은 도미노처럼 제2금융권을 휩쓸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비은행금융기관들의 자산규모가 크지 않아 거시경제에 미칠 직접적인 충격은 제한적이겠지만, 최근 대형금융지주의 저축은행 인수로 저축은행 부실로 대형금융지주로 전이될 연결고리도 마련됐다"고 역설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현정 기자 alphag@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