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양육환경 30점도 안 돼…결혼 후 한 명 이상 '못' 낳겠다

-미혼 남녀 절반 이상, 양육비 부담으로 저출산 문제 심각해
-결혼 후 희망 자녀 수, 男 1.89명 VS 女 1.87명
-대한민국 출산 환경 점수 32.3점, 양육환경은 29.4점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 1.23명 시대다. 전 세계 217위로 출산율 최하위권을 기록하며 저출산 불명예를 떠안은 가운데 최근 실시한 한 조사에서 양육환경 점수가 30점에도 못 미치는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와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가 지난 11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미혼남녀 976명(남 494명, 여 482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2030 미혼남녀 결혼인식'을 조사해 26일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해 남녀 과반수(59.7%)가 '(매우)심각하다'고 답했다. 특히 5점 척도로 출산 만족도를 점수로 수치화한 결과 평균 34.4점(남 33.2점, 여 34.3점)에 그쳤다.

또한 미혼남녀 본인들은 아이를 두 명 정도 낳고 싶어 하지만 사회적 환경이 이를 뒤받쳐주지 않아 포기하게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미혼남녀가 희망하는 평균 자녀 수를 집계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6명(58.1%)이 '2명'의 자녀를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 평균은 1.88명(남 1.89명, 여 1.87명)으로 대한민국 합계 출산율인 1.23명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출산 문제 및 출산?양육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높았다. 결국 본인의 출산 의지와는 달리 자녀를 적게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출산·양육 환경에 대한 답변 평균을 수치화한 결과 ‘출산환경’은 32.3점을 기록했다. 특히 ‘양육환경’은 29.4점이 나와 30점에도 채 미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출산 환경 (남 34.3점> 여 30.2점)과 양육 환경(남 31.4점>여 27.3점)에 대해 더 낮은 점수를 줘 현실에서 체감하는 양육 현실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했다.

당연히 출산·양육 환경에 대한 '만족도'도 형편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대한민국 양육환경 30점도 안 돼…결혼 후 한 명 이상 '못' 낳겠다 원본보기 아이콘
‘출산 환경이 (매우)열악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63.5%였으며 ‘양육 환경이 (매우)열악하다’고 답한 비율도 69.4%에 달해 출산·양육 환경 모두 불만족스럽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출산 가속화의 원인으로는 남녀 모두 ‘자녀 양육비에 대한 부담(53.2%)’을 첫 번째로 손꼽았다. 이어 ‘정부의 출산장려 지원정책 미흡’ (26%),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13.8%), ‘자녀 출산에 대한 필요성 감소’(7%)가 그 뒤를 이었다.

자녀 출산 후 고민에 대해서는 ‘사교육비 부담’이 30.2%(남 36.6%, 여23.7%)로 가장 높았고 근소한 차이로 ‘육아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30.1%((남 31%, 여 29.3%)로 뒤를 이었다.

출산 후 자녀 양육 환경을 위한 개선 사항에 대해서 정부와 기업 차원이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한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했다.

‘자녀 양육 환경을 위한 개선 사항’에 대해서 여성의 36.9%(178명)가 ‘금전적 지원 확대’라고 답해 정부의 경제적 제도 지원을 가장 많이 기대했으며 이어 ‘육아자에 대한 기업적 배려’(남 23.5%, 여 28.6%)가 그 뒤를 이었다.

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개인의 행복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출산 및 양육은 인생의 가치를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저출산 해결을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결혼, 출산을 배려하는 인식 변화도 필요하겠지만 자신의 인생을 행복하게 만들려는 노력도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