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국내산 1호 김 원초 산업화 나선다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CJ제일제당 이 일본산 종자에 의존하는 한국 전통식품 '김'의 국내산 종자개발 및 원초 확보에 발 벗고 나섰다.

CJ제일제당은 국내 최초로 지난해 10월 국내산 김 종자개발에 성공한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과 손잡고 국내산 1호 원초 활용 및 판로개척은 물론 국가적인 차원에서 미래 식량자원인 해조류(김, 미역, 다시마 등) 유전자원 확보를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내년부터 외국산 종자사용에 대한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 '국제식품신품종보호동맹(UPOV)' 발효에 대응할 수 있는 순수 '우리 종자'를 개발하고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CJ제일제당 측은 설명했다.

이날 CJ제일제당과 전라남도는 전라남도청 정약용실에서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 박준영 전라남도 도지사, 이인곤 해양수산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수산 자원 개발 및 확보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CJ제일제당과 전라남도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산 1호 김 종자로 양식한 원초를 활용해 향후 B2C 제품화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단순한 국내산 김 원초의 산업화를 위한 MOU 차원을 뛰어넘어 CJ제일제당의 오랜 R&D 노하우를 전라남도 지역에 집중 투자, 국내 생장 환경과 식습관에 적합한 김을 비롯한 다양한 해조류 종자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이번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의 국내산 1호 김 종자는 한국의 맛과 전통을 계승하는 국내 유일의 해외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는 첫 김 제품으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CJ제일제당은 원초부터 차별화된 신규 브랜드를 준비, 제품 출시되는 내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종자를 포함해 모든 원료가 100% 국내산이라는 특징을 소구해 소비자들을 공략할 계획이다. 이후 전라남도의 풍부한 해양수산자원을 적극 활용해 국내 종자를 개발, 독자 원초를 확보하는데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CJ제일제당과 전라남도의 MOU는 내년부터 해조류가 로열티 지급 품목으로 지정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의 품종보호제도가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시행되며 본격적인 해조류 종자 전쟁을 앞둔 상황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국내산 김 종자를 활용해 한국의 맛과 전통을 계승하는 전문 김 브랜드를 선보일 것"이라며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의 종자 개발 노하우, 전라남도의 해양수산자원 인프라, CJ제일제당의 R&D 삼박자를 맞춰 한국을 대표하는 순수 우리 원초 확보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