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하이스코 당진공장 No.2 CGL 준공

총 투자금 1063억원, 연산 25만t
2대 설비 통한 용도별 전용생산방식으로 생산성·품질 향상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현대하이스코가 당진 융용아연도금설비(CGL) 2호기 설치 공사를 마무리 하고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했다.현대하이스코는 7일 당진공장에서 No.2 CGL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원갑 부회장과 신성재 사장을 비롯한 회사 임직원 및 공사관계자 50여명이 참석했으며. 신설설비에 대한 경과보고 및 가동식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CGL은 냉연강판을 열처리 한 뒤 용융상태의 아연을 강판의 표면에 도금해 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하는 설비다.

지난해 7월부터 15개월 동안 총 1063억원의 투자비를 들여 건설한 당진 No.2 CGL은 연산 25만t의 생산능력으로 0.2~1.3mm 두께의 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한다. 이로써 당진공장은 기존 35만t 생산능력과 더불어 총 60만t의 용융아연도금설비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됐다. 특히 현대하이스코는 이번 설비증설을 계기로 각각의 설비별로 자동차용 강판과 일반 냉연강판을 구분해 생산하는 제품특화 생산체제가 가능해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기존 CGL 1호기는 자동차용 강판을, 새로 준공된 2호기는 건축자재 등의 일반강판을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혼류생산방식에 필요했던 용도전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돼 생산성 증대는 물론 전용생산에 따른 제품수준 향상의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현대하이스코는 현재 전남 순천공장에도 1260억원을 투자하여 연산 30만t 규모의 아연도금설비를 증설하고 있다. 이 설비가 완공되는 내년 상반기에는 현대하이스코의 CGL 생산능력은 당진과 순천공장을 합쳐 총 135만t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 관계자는 “현대제철의 고로 가동 및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량 증가추세에 대비한 가공능력 확대 차원에서 설비를 증설하고 있다”며, “쇳물(현대제철)과 완성차(현대-기아차)를 연결하는 고품질의 자동차용 냉연강판 생산능력을 크게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채명석 기자 oricms@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