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시대…수퍼 리치의 투자 포트폴리오는?

전문가에 들어본 수퍼 리치의 투자 포트폴리오

국내 금융시장이 미국 및 유럽발 악재와 정책 이슈로 큰 폭의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언제까지 개인투자자들은 롤러코스터를 타야 할까. 이럴 때 20억~3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고액 자산가들은 어떻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까.

22일 서울 중구 태평로2가 신한은행 본점에서 한상언 PB사업부 팀장을 만나 고액 자산가들의 최근 관심 투자대상과 추천 투자포트폴리오 등에 대해 물었다. 그는 신한은행의 대표 프라이빗 뱅커(PB)로 다년간의 재무설계와 은퇴설계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청와대, 금융감독원, KT 등 정부와 기업체에서 수많은 강의를 진행해왔다.

한 팀장은 시장환경 변화에 맞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야 할 시기라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누구에게나 똑같이 위기가 다가오지만, 투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따라 충격의 강도는 크게 차이가 난다"면서 "특히 요즘처럼 롤러코스터 장세에서는 방어를 잘 하는 투자자가 이기는 투자자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탐장은 올 상반기에는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전략을 추천했지만 최근에는 리스크 관리용 투자전략을 권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올해 1분기만 해도 연 10% 수익을 목표로 하는 다소 공격적인 목표 전환형 펀드상품, 압축 포트폴리오 형태의 자문형 펀드 등을 추천했다"며 "2분기 들어서는 증시가 활황을 보이면서 ELF(주가연계펀드) 등을 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화 상품을 적극 추천하고 있다"며 "ELS(주가연계증권)와 ELF, 분할매수 전략을 가져가는 변동성 상품 등이 주를 이룬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채권관련 상품도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한 팀장은 "신용이 우량한 회사채나 신흥국가 통화에 투자하는 상품, 금 관련 상품 등이 있으며, 다만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분산 투자할 것으로 권한다"고 말했다.

한 팀장은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금 투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금 투자로 수익을 낸 투자자들은 금값이 확 오를 것을 기대한 투자자들이 아닌, 금융위기 이후 포트폴리오 구성 차원에서 투자한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또 "일부 전문가들은 달러 약세를 확신하면서 금값이 온스당 2200~25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지금은 현재까지 보였던 고수익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초고액 자산가들에게 제시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는 일반 서민들과 어떤 차이가 날까.

한 팀장은 이와관련, "일반 서민들과 같은 전략 아래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시한다"며 "다만 자금의 목적과 규모, 고객의 연령, 투자 성향 등에 따라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이 달라질 뿐"이라고 말했다.

국내 대표 PB 중 한명인 그는 과연 재테크에 대해 어떤 철학을 갖고 있을까.

한 팀장은 "재테크는 주어진 소스를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라고 전제한 뒤 "많이 버는 투자보다 마음 편한 투자가 좋은 투자"라고 강조했다. 크게 한방을 노리기 보다는 장세에 맞는 전략으로 꾸준히 수익률을 올리는게 바람직한 재테크 방식이라는 얘기다.

한편 한 팀장은 다음달 5일 오후 2시 서울 대치동 섬유센터에서 열리는 '명품 자산관리 아카데미'에서 '요즘 부자들은 어떤 상품에 투자할까?'라는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 아카데미 온라인 신청하기

대담= 김종수 금융부 골드메이커 부장
정리= 김은별 기자 silversta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종수 골드메이커 부장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