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한국경제 비전 과학에서 찾아야"

전경련, 2030년 한국경제비전 2차 심포지엄 '산업기술역량강화' 개최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우리나라가 2030년 1인당 국민소득 10만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 기술 역량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7일 전경련 대회의실에서 2030년 한국경제비전 달성을 위한 '산업기술역량강화 심포지엄'을 갖고 이같은 과제를 제시했다.특히 전경련은 과학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7대 과제로 기초과학 육성, 과학기술 상용화, 산업기술 인력 육성 및 확보, 과학문화 확산, 사회안전기술 확보, 국제산업기술 허브 구축, 미래 기술 개척 등을 꼽았다.

먼저 전경련은 우리 과학기술의 토대인 기초과학 발전을 위해 2030년까지 정부의 R&D 예산 중 기초연구 투자 비중을 70%(47.4%, 2011년 현재)까지 확대하고, 유인 우주선 발사·핵융합 조기 상용화 등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해 기초과학에 대한 국민의 인식전환을 도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과학기술 분야의 창업과 상용화를 활성하기 위해 정부 연구소의 기술의 민간부문으로 이전하고, 최근 삼성과 애플과의 특허소송의 사례처럼 지적재산권의 출원 및 보호에 대한 전략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산업기술 인력 육성 및 확보를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간 산학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업종별 특성에 맞는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우수한 고졸인력도 적극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세계수준의 과학관과 산업박물관을 건립하는 등 과학문화 확산에 주력하고, 사이버보안 등 사회안전 기술 확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신기술에 대한 발빠른 접근성과 신기술 선점을 위해 미개척 분야의 기술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에너지, 바이오, IT 등 30개 유망 기술을 제시했다.

임상혁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열쇠인 과학기술의 새로운 르네상스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정부 뿐 아니라 기업이 과학기술에 대해 과감하고 혁신적인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



이정일 기자 jay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