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 주민투표, 박근혜는 왜 침묵하나?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친박에게는 상당히 부담이다. 그렇다고 박 전 대표가 움직이진 않을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조건부 사퇴' 발표를 한 직후, 한나라당 수도권 친박계(친박근혜계) 의원이 기자를 만나 익명을 전제로 건넨 말이다.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앞두고 한나라당은 이 사안이 계파 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당이 '오세훈 구하기'에 총력을 다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박 전 대표는 일체 말을 아끼는 중이다. 박 전 대표가 유력 대선주자임을 고려하면 친박계의 '부담'은 여러 의미로 해석된다. 오 시장의 시장직 연계는 한나라당도 배수의 진을 쳤다는 뜻이다. 박 전 대표의 침묵은 보수층의 반감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를 내포한다.

그러나 내년 대선을 앞두고 박 전 대표는 수도권 민심잡기가 절실하다. 지난해 6.2지방선거를 기점으로 강원, 충청을 야당에게 내주고, 부산·경남마저 안심 못 할 상황이다.

호남과 제주는 야당 텃밭임을 감안하면 박 전 대표가 승부수를 띄울 지역은 대구·경북 외 수도권 뿐이다. 당내 전략가인 정두언 의원이 "총선과 대선 승리를 위해 수도권 30~40대를 고려하면서 정무적 판단과 선택을 해야 한다"고 수차 강조한 것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박 전 대표는 지금까지 복지에 대해 제법 우호적인 스텐스(입장)로 중도층까지 아우르는 행보를 보였는데, 오 시장 편에 서면 자칫 무상급식을 축소하자는 이미지로 비춰질 수 있다. 투표율이 33.3%를 넘겨 주민투표가 성사될지에 의문도 있을 것이다. 이런 이유로 지원사격에 나서기 힘들었을 것이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실장)

친박계는 일찍감치 주민투표를 당과 분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지면 지는 대로 이기면 이기는 대로 우리 당은 상당히 곤란한 위치에 처할 것"이라며 "서울시민들한테 어느 안에 대해서 찬성하느냐를 묻는 투표로 치부하면 될 일을 온 당이 분란을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런 목소리는 오 시장의 시장직 연계 발표와 친이계(친이명박계)의 비판 속에 곧 사그라들었다.

박 전 대표의 '침묵'에 대해 보수논객인 중앙대 이상돈 교수는 "섣불리 발을 들이면 (주민투표 실패 시) 책임론에 부딪치게 되고 운신의 폭이 줄어들게 된다"며 "오 시장도 도움이 필요했다면 일방적인 대선 불출마나 사퇴 선언으로 박 전 대표를 압박하는 모양을 취해선 안 됐다"고 꼬집었다.

주민투표 실패 시 10.26재보궐 선거에 서울시장이 포함된다면 박 전 대표가 지금보다 더욱 곤란해질 것이란 일부 관측도 있다. 내년 총·대선의 시금석이 될 서울시장 보선에선 복지 이슈가 다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박 전 대표가 당의 지원요청을 받게 되면 복지에 관해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지 고민이 깊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친박계 한 핵심의원은 "표의 유불리만 따지면 박 전 대표가 수도권 민심에 어필 할 수 있는 방법은 오 시장의 안을 지지하는 것"이라며 "젊은층 지지를 포기하는 듯이 보일수 있지만 단계적 무상급식이 옳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고, 보수층까지 다지며 박 전 대표가 '보수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 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