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이물혼입 절반은 원인 못 밝혀

식약청, 올 상반기 이물 보고 및 조사 현황 발표…3148건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올 상반기 보고(신고)된 식품 이물 건수는 줄었으나, 이물이 들어간 원인을 명확히 입증하기 어려운 사례가 절반 가량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 상반기에 보고(신고)된 식품 이물 건수는 총 314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217건)보다 25.3% 감소했다고 18일 밝혔다.지난해 1월부터 식품업체의 이물보고가 의무화된 데다 모든 이물 보고(신고)건을 대상으로 이물 혼입 원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개선조치를 병행한 결과, 식품 이물 건수가 감소했다고 식약청은 분석했다.

식품 종류별로는 면류가 18%로 가장 많았고, 과자류(11.2%), 커피(8%), 빵·떡류(6.7%), 음료류(6.3%) 순이었다. 식품에 들어간 이물은 벌레(30.4%), 금속(11%), 곰팡이(6.3%), 플라스틱(6.1%), 유리(1.3%) 등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기타로 분류된 머리카락·탄화물·종이·섬유 등이 44.9%를 차지했다.

올 상반기에 보고된 3148건 중 원인조사가 끝난 2973건을 들여다보면, 이물이 혼입된 단계를 확정할 수 없는 경우가 1420건으로 절반이나 됐다. 제조단계와 소비·유통단계에 이물이 혼입된 사례는 각각 348건, 286건이었다.이에 대해 식약청 관계자는 "인과관계가 명백히 밝혀진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리조각, 금속, 플라스틱, 벌레 등 이물의 특성상 제조, 유통, 소비단계 모두에서 혼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