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이마트 미트센터 오픈, 위생·신선도가 '생명'

[광주(경기)=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손 소독을 하셔야 문이 열립니다."

11일 방문한 '이마트 미트센터'에서 가장 먼저 들은 인사다. 이날 본격적인 생산라인 가동을 시작한 이마트 미트센터에서 무엇보다 위생이 중요했다. 건물 외관만 보자면 하루에 소 50마리, 돼지 400~500마리 처리하는 축산물 가공·포장 공장이라고 전혀 믿어지지 않았다. 이마트 미트센터(emart meat center)라는 글귀가 아니라면 이마트 매장이라고 착각할 만한 외관이었다.

▲이마트미트센터에 직원들이 추석용에 쓰일 한우선물세트 포장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마트미트센터에 직원들이 추석용에 쓰일 한우선물세트 포장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그러나 건물 앞에서면 차이는 확연히 들어났다. 문 앞에 설치된 손소독기에서 소독을 실시해야만 자동문이 '우웅'하는 모터소리를 내며 열리는 것. 건물에 들어선 뒤에 개인의 신발을 벗고 슬리퍼를 신는 것은 당연해 보이기까지 했다.

건물내부에서 작업이 진행중인 생산라인으로 들어서는 절차는 더 까다로웠다. 장화에 흰색가운, 모자, 마스크를 모두 입는 것은 기본이다. 이를 모두 착용하고 재차 손 씻기를 한 뒤에야 에어샤워실로 들어설 수 있다. 에어샤워실에서 고압의 바람을 쏘인 뒤 생산 내부로 들어설 수 있었다.작업장 내부는 마치 냉장고에 들어서는 기분이 들 정도로 서늘했다. 사람들의 입에 직접 들어가는 축산물을 바로 가공하는 공장인 만큼 신선도 유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 모습이었다. 김연섭 이마트 축산가공센터 TF 팀장은 "생산라인 내부의 온도는 영상 12℃를 항상 유지하고 있다"며 "에어컨을 이용해 위치별로 온도차이가 나는 것을 막기 위해 시원한 공기가 조금씩 나갈 수 있는 전용 파이프를 따로 수입해 적용했다"고 말했다.

작업장 내부에는 라인 별로 5~7명의 인원만 고기를 포장 용기에 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사람의 손이 닿는 과정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자동화 작업이 불가능한 최소한의 공정에만 사람의 손을 이용하는 것이다. 김 팀장은 "36.5℃의 사람 손이 반복적으로 닿으면 신선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자동화 공정을 거쳐 사람이 손을 닿는 과정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이마트 미트센터에서 직원들이 고기를 다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마트 미트센터에서 직원들이 고기를 다듬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육류의 신선도 유지 비밀은 포장 과정에도 숨어있다.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공기는 모두 제거하고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8대2의 비율로 혼합한 가스를 충전시키는 것. 김 팀장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비율이 8대2인 혼합가스를 충전하면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할 수 있다"며 "육류 유통시간을 기존 1주일에서 보름까지 늘릴 수 있을 만큼 신선도를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움직이는 라인은 모두 16개다. 한우와 돈육이 각각 6개이고, 수입육이 4개 라인이다. 하루 20t의 한우와 50t의 돈육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로 전체 금액으로는 4000억원 수준이다. 이를 통해 전국 136개 이마트에 공급되는 한우의 80%와 돈육의 55%를 이곳을 통해 공급하게 된다. 지난달 말부터 시험가동을 시작한 미트센터의 16개 라인은 이날도 쉴틈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이마트 미트센터에서 고기를 배송센터로 운송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이마트 미트센터에서 고기를 배송센터로 운송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작업을 진행하던 한 직원은 "올해는 추석이 이른데다 한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추석선물로 한우세트가 인기를 모을 것으로 예상돼 작년에 비해 물량이 30% 이상 늘었다"며 "때문에 일찌감치 냉동 선물세트 물량부터 우선적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낮은 온도와 위생관리 덕분에 땀 한 방울 나지 않는 과정이지만 포장을 진행하는 그들의 눈에는 국내 최초의 축산물 가공 공장에서 일한다는 자부심이 묻어났다.




광주(경기)=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