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등급하향]美, '최고신용등급' 상실했다(종합)

S&P, 美 국가신용등급 AAA→AA+로 한단계 강등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당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신평사 중 처음으로 미국의 최고신용등급 ‘트리플A’를 하향 조정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시간)보도했다.

S&P는 이날 현재 ‘AAA’등급인 미국의 장기국채등급을 ‘AA+’로 한단계 하향 조정하고 등급전망은 ‘부정적’으로 유지해 추가 하향 가능성도 열어놓았다. 앞서 지난달 14일 S&P는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향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재정적자를 줄일 수 있는 ‘믿을만한’ 계획이 부재할 경우 등급을 강등하겠다고 경고했다.S&P의 이번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1941년 이래 70년만이다. S&P는 강등 이유에 대해 “미국 국채발행한도 상향이 극적으로 타결되고 마감시한인 8월2일 법안 통과에 성공했지만 중기적으로 재정상태를 안정시키는데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또 향후 2년간 재정적자 감축이 합의한 것만큼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새로운 재정적 압력’이 가해질 경우 ‘AA’로 한단계 더 떨어뜨릴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신평사 무디스와 피치는 8월2일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 통과 후 ‘트리플A’ 등급을 일단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등급전망은 부정적으로 유지해 미국 정치권이 재정적자 감축의 실질적 방안을 내놓지 못하거나 경제가 침체될 경우 강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P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인해 모기지·자동차론 등 대출비용 부담이 장기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대출금리는 일반적으로 국채금리와 연동되어 움직이기 때문이다. JP모건체이스는 미국 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차입비용 상승이 연간 1000억달러까지 이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샌디에고 LPL파이낸셜의 안토니 발레리 시장투자전략가는 “ 이는 미국의 재정 정상화가 아지 갈 길이 멀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며, 국가신용등급 하향 압력은 몇 년간 떨칠 수 없는 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의회를 통과돼 발효된 합의안은 국채 발행 상한선을 3단계에 걸쳐 모두 2조4000억 달러 확대하고 향후 10년간 2조4000억 달러에 이르는 적자폭을 감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S&P는 미국 정부의 전체 부채 가운데 시장에 매각한 부채의 비중이 올해 말까지 국내총생산(GDP)의 74%, 2015년까지 79%, 2021년 85%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S&P는 “더 넓게 볼 때 신용등급 강등 결정은 지금까지 재정적자 문제 해결 과정에서 미국 정부와 의회 등 정치권이 보여 준 모습이 예측가능성, 안정성, 효율성 차원에서 앞서 강등 가능성을 경고했을 당시보다 더욱 실망스러웠던 것에 기인했다”고 언급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