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證, "기업 여유자금 주식투자로 눈 돌린다"

[아시아경제 지선호 기자] 기업들의 여유자금이 증권사로 몰리고 있다. 그동안 은행들이 선점하고 있던 기업 고객이 저금리 상황이 이어지자 증시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삼성증권 은 7개 법인영업지점에서 영업을 시작한지 1년여 만에 관리자산 10조원을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관리자산이 지난해 말 6조2000억원에서 올해 7월19일 현재 10조5300억원으로 68.5%나 증가했다. 법인영업지점은 일반 기업체 및 학교법인, 재단, 공제회 등의 법인과 농협 등 금융기관의 자금관리를 전담하는 지점이다. 지난해 초 처음 법인영업지점을 출범시킨 삼성증권은 전체 지점관리 자산 108조원 중 법인영업지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9.3%에 이른다.

삼성증권은 현재 강남 삼성타운, 본사 영업부, 수원, 대전, 대구, 부산 등 7개 거점에 별도의 법인 지점장과 총 47명의 법인전담 프라이빗뱅커(PB) 조직을 운영 중이다.

삼성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법인 관리 자금은 전체적으로 연초보다 증가한 가운데 특히 주식투자 자금이 두 배 가량 늘었다. 주식투자 자금은 연초 3조8000억원에서 7월19일 현재 7조322억원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금융상품(채권 및 ELS)투자가 연초보다 27% 증가한 1조3400억원을 나타냈고, 신탁자금이 연초 대비 80%정도 증가한 1조1145억원을 기록했다. 투자신탁(7721억원), 랩어카운트(2524억원), 순예탁금(210억원) 순이었다.

삼성증권은 "예탁자산 중 주식 비중이 67%에 달하는 것은 법인자금 특성상 최고경영자(CEO)의 회사 지분 등이 예탁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대우증권도 테헤란, 역삼 등에 별도 법인지점장을 두고 영업 인력을 보충하는 등 대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안종업 삼성증권 리테일사업본부장 전무는, "저금리 상황 속에서 마땅한 운영처를 찾지 못한 법인자금이 채권, 랩, ELS 등 다양한 솔루션을 가진 증권회사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며 "올해 들어 유치한 자산만 4조원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지선호 기자 likemo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