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종업계 타결'..현대·기아차에는 '악재'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현대차와 기아차의 임금협상이 동종업체들의 잇단 타결에 오히려 꼬이고 있다. 한국GM, 르노삼성 등이 사상 최대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결정하면서 현대·기아차 노사가 '적정수준'을 놓고 고민에 빠진 것이다. 이에 따라 다음달 초로 예정된 여름휴가 전까지 마무리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0일 기아차에 따르면 사측은 전날인 19일 '기본급 8만5000원, 성과급 300%+300만원, 글로벌판매향상격려금 300만원' 등의 내용이 담긴 제시안을 노조에 전달했다. 첫번째 제시안인 만큼 변경될 가능성이 크지만 노조는 '조합원을 우롱한다'면서 확실한 반대입장을 나타냈다.회사 관계자는 "동종업체들의 협상결과를 지켜보면서 제시안을 작성하는데 상당한 부담을 느낀 게 사실"이라면서 "우리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만큼 어느 정도까지 포함할 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휴가전 타결을 성사했던 현대차는 올해에는 아직 '타결의 가이드라인'이 될 제시안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여전히 요구사항을 놓고 노사가 설득작업을 벌이고 있는데 똑같은 고민을 토로하고 있다.

회사 고위 관계자는 "다른 업체 타결 내용을 전혀 무시할 수는 없지 않냐"면서 "노조의 입김이 더욱 거세질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21일 예정된 15차 협상에서 첫 제시안을 내놓을 전망이다.다른 업체 타결 소식은 노조에도 부담이다. 기아차 노조 간부는 "조합원들의 기대치가 높아져 어깨가 무겁다"고 말했다. 만족할만한 성과를 내야하는 만큼 자연히 사측과의 협상은 늘어질 가능성이 크다.

현대차 노조 역시 타사 움직임에 민감하다. 노조 게시판에는 '휴가전 타결'과 '휴가와 상관없이 성과를 내라'는 목소리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임금협상 뿐 아니라 별도요구안 및 단체협상도 휴가전 협상 마무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기아차 노조는 주간연속2교대제를 별도요구안에 포함시켰고, 현대차는 가장 민감한 타임오프문제를 임단협과 별개로 마무리해야 한다.

기아차 노조는 주간연속2교대제 시행에 따른 생산 차질을 공장 증설을 통해 해결하자는 입장인 반면, 사측은 현재 인력과 설비에서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견해를 고수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고위 관계자는 "휴가전 타결을 할 수도 있지만 문제는 내용아니겠냐"면서 향후 협상이 쉽지 않음을 내비쳤다.



최일권 기자 ig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