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휴대폰 안전할까?"…방통위, 전자파 측정값 공개

종합대책 전담기구 '한국전자파문화재단' 설립 추진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세계보건기구(WHO)가 휴대폰 전자파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한 이후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방통위가 전자파 관련 인체 보호기준을 강화하는데 이어 측정대상기기의 전자파 측정값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기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는 19일 전자파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방통위는 이날 공청회를 통해 제기된 의견들을 반영해 3분기내 전자파 종합대책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방통위가 만든 초안은 ▲휴대폰에만 규제되고 있는 전자파 규제의 인체 근접 사용 무선기기로 확대(태블릿PC, 노트북 등) ▲2012년부터 전자파 측정값 공개 ▲전파적합성 평가 관련 주파수 확대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전자파 문제를 전담하는 한국전자파문화재단 설립 등으로 구성돼 있다.

방통위는 우선 휴대폰 이외의 태블릿PC, 노트북 등 인체 근접 무선기기로 규제를 확대할 방침이다. 신체 부위도 현재 머리만 적용되던 것에 반해 몸통과 팔다리 등 신체 전체로 규제 대상을 세분화 한다. 측정된 전자파는 제조 업체들이 자율적으로 공개하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전파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방침이다. 국민들이 자신이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태블릿PC가 안전한지 직접 확인하도록 제공한다.

전자파적합성 평가 관련 주파수는 현재 1기가헤르츠(㎓)에서 6㎓로 확대된다.

방통위는 전자파의 인체영향 연구를 위해 중장기 연구를 추진하는 한편 어린이와 휴대폰 장시간 사용자 등 취약계층 중심의 연구를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내년부터 어린이와 청소년의 휴대폰 이용 가이드 마련 및 가전제품 등 생활속 전자파 방출기기의 안전한 사용방법 홍보에 나선다.

이와 함께 방통위는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와 교육, 홍보, 이해관계자 갈등 조정 등을 전담할 전담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한국전자파문화재단(가칭)'의 설립을 추진키로 했다.



명진규 기자 aeo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