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앞바다서 문화재 도굴한 일당 덜미

서해안 앞바다 도굴문화재 가운데 중요 유물 사진. 맨 밑에 가로로 길게 놓여진 게 조선시대 소화기인 국보급 문화재 승자총통이다.

서해안 앞바다 도굴문화재 가운데 중요 유물 사진. 맨 밑에 가로로 길게 놓여진 게 조선시대 소화기인 국보급 문화재 승자총통이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성정은 기자]바다에 묻혀 있던 보물급 문화재를 도굴해 시중에 팔려한 수산업자 오모(43)씨 등 7명이 경찰에 덜미를 잡혔다.

문화재청(청장 최광식)과 서울지방경찰청(청장 이성규)은 2009년 충남 태안화력발전소 앞 바다에 들어가 해산물을 따던 중 조선시대 소화기인 승자총통 등을 발견하고 이를 도굴해 팔려 한 혐의로 오씨 등 7명을 19일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이 도굴한 문화재는 보물급 문화재인 승자총통(勝字銃筒)과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인화문접시, 일제 강점기 때의 백자청화화문항아리, 고려 중기 청자병 등을 비롯한 16점이며, 문화재청과 서울지방경찰청은 이 16점 모두를 회수했다.

오씨 등이 도굴한 승자총통은 몸통에 있는 '만력 계미 십월일(萬曆 癸未 十月日)'이라는 문구로 미뤄 1583년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보물 제855호인 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의 제작 시기 보다 5년 앞서는 것이어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번에 회수된 문화재에는 일제 강점기 때 민간에서 사용했던 백자청화화문항아리와 조선 후기 백자종지, 백자접시 등도 포함돼 있다.

수산물 유통업과 잠수부 일을 하던 이들은 2009년 11월 중순 태안화력발전소 앞 바다에서 불법으로 해삼을 채취하다가 승자총통 등을 발견하고 도굴했으며, 이를 수산물가공 사업장 안에 있는 숙소에 보관해왔다. 오씨 등은 인터넷 등으로 자신들이 도굴한 승자총통이 보물급 문화재인 것을 확인하고 문화재 매매업자들에게 5억원에 팔려고 했으나, 매매업자들이 단속반에 발각될 것을 우려해 구입을 포기하면서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들은 승자총통과 청자 접시 등을 도굴한 다음 지인에게 부탁해 도굴 지역에 유물이 매장돼 있다는 사실을 행정당국에 신고하는 방법으로 범행을 은폐하려 했던 것으로도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이와 같은 범죄를 끝까지 추적해 문화재 불법 유통을 막고, 이번 확인 도굴 지역에 대해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화 협의해 탐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성정은 기자 je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