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산 신화' 신선호 회장, 230억 현금 들고 화려한 재기

센트럴시티 올해 첫 배당 … 비상장사 배당금으론 구본무·최태원 회장 앞질러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1970년대 '율산 신화'의 주인공인 신선호 센트럴시티 회장이 올해 229억원의 배당을 받으면서 그의 재기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금융감독원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비상장 기업인 센트럴시티는 최근 처음으로 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하고 이 회사 지분 38.1%를 보유한 신 회장에게 229억원을 지급했다.이는 올해 비상장사 대주주가 받은 배당금으로는 네 번째로 큰 액수로, 구본무 LG그룹 회장이 받은 배당액 187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배당액 156억원보다도 훨씬 많다.

센트럴시티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복합점포인 '센트럴시티'를 운영하는 주체로, 이곳에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JW메리어트호텔 등이 입주해 있다.

신 회장이 고액배당 대주주 가운데 유독 눈에 띄는 것은 1970년대 중반 한국 재계에 돌풍을 일으켰던 율산신화의 주인공이기 때문.1975년, 당시 만 28세이던 신 회장은 고교 동문 몇 명과 함께 자본금 100만원으로 율산실업을 세워 불과 4년만에 14개 계열사를 거느린 그룹으로 키워낸다. 중동 산유국들을 상대로 한 시멘트 수출로 사업을 시작해 건설, 의류, 전자 등을 아우르는 대기업으로 급성장했고, 1978년에는 종합상사로 지정받아 재계를 거듭 놀라게 했다.

하지만 1978년 정부의 '8·8 투기억제조치'로 건축자재 수출 길이 막히고 건설경기마저 침체에 빠지자 심각한 자금난으로 부도를 내고 그룹은 결국 해체의 길을 걸었다. 이 과정에서 신 회장 자신도 거액의 공금횡령, 외화도피, 뇌물공여 등으로 검찰에 구속되기에 이른다.

재계에서 잊혀지는 듯 했던 신 회장은 2000년 서울 강남의 특급 호텔인 메리어트호텔 개장식에 참석하면서 20년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룹 부도 당시 채권단이 율산그룹 소유의 부동산을 모두 매각했으나, 센트럴시티가 들어선 터미널 부지는 법적·계약조건 등에 의해 처분이 불가능해 신 회장에게는 재기의 발판이 됐던 셈이다.

당시 신 회장은 센트럴시티의 지분 99%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간의 이목을 받았으나 이듬해 다시 50% 이상의 지분과 함께 경영권을 넘겨주면서 재기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하지만 센트럴시티는 2004년 신 회장이 경영권을 되찾고 입점한 백화점, 호텔 등이 경영 호조를 보이면서 2006년부터 흑자로 전환, 올해 처음으로 고액 배당을 하게 됐다.



조인경 기자 ik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