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만 조력발전 반대 투쟁 불붙었다

민관 공동대책위원회 출범...인천시 참여는 사상 초유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인천 지역의 민·관이 인천만 조력발전 사업 반대 투쟁을 위해 똘똘 뭉쳤다. 굴업도 핵폐기장, 인천대교 주경간 폭 확대 등 특정 현안에 대해 민간 차원의 범시민적 행동이 일어난 적은 있지만 인천시까지 동참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이와 관련 '인천만 조력발전 사업 건설 대응을 위한 민관 공동 대책위원회'(공대위)는 27일 오전 인천시청 기자실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갖고 본격적인 반대 투쟁을 선언했다. 공대위에는 인천시와 인천시의회, 시민환경단체,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 지역 정치계, 강화도 주민, 학계 등이 망라돼 있다.

신동근 시 정무부시장, 김기홍 시의회 부의장, 박종렬 시정참여정책위원장, 이세영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상임대표, 박용오 강화어민대책위원장, 고철환 서울대 교수 등 6인이 공동 위원장을 맡았다.

자문위원에는 최중기 인하대 교수, 범시민서명운동본부장에는 김정택 목사, 공동집행위원장에는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과 이신철 인천사랑운동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이 각각 선임됐다. 공대위는 "최근 한수원에서 추진하는 인천만 조력발전 건설사업으로 인해 대규모 인공방조제 건설로 인천앞바다와 갯벌이 심각한 훼손의 운명에 처해 있다"며 "이러한 계획이 280만 인천시민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에 크나큰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력발전 사업은 여러 면에서 과학적 입증이 필요한데 정부가 인천만 조력발전 건설사업을 이렇게 서두르는 이유를 우리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며 "정부는 인천만 조력발전사업을 재검토하고 충분한 검증 논의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오는 6월에 개최될 국토해양부의 중앙 연안관리심의회에서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에 대한 안건 심의는 유보되어야 한다"며 "더 이상 일방적인 사업추진을 중단하고 조력발전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충분한 과학적 검증이 끝날 때까지 조력발전 사업은 유보하라"고 요구했다.

공대위는 이를 위해 범 시민 서명운동, 홍보물 제작 배포, 국회 토론회 개최 등 여론전을 펼치는 한편 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 장관을 만나 설득할 계획이다. 또 인천 앞바다, 강화갯벌의 현명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 방안 모색하기 위한 연구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