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지원] LH 재정상태 얼마나 심각하길래?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긴급 자금 수혈에 나서는 등 경영정상화를 위한 지원에 나섰다. 부채는 계속 적체되고 있으나 자산 매각, 채권 발행 등 사업비를 조달할 수 있는 길은 막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LH의 부채는 지난해말 총 125조5000억원 규모다. 이는 지난해 기획재정부가 김성곤 의원에게 국정감사를 통해 제출한 '공공기관 부채 현황(2009년)'시 발표된 LH의 부채 109조2428억원보다 16조2572억원 가량 불어난 수치다. 당시 LH의 부채는 공공기관의 부채 300조원의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부는 이같은 부채 중 지속적으로 불어나고 있는 금융부채는 90조7000억원으로 분류했다.

부채가 이처럼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LH는 경영정상화를 위한 각고의 노력을 펼쳤다.

약 24%에 달하는 인원을 감축했으며 임직원들의 임금 10%를 반납했다. 43~46조원이 소요됐던 연간 사업비도 30조원으로 대폭 줄였다. 276개에 달하는 진행 중인 사업은 자금 투입시기를 분산·조정토록 했으며 138개 신규 사업지는 사업성·공익성 등을 고려해 개별 사업별 조정에 들어갔다. 하지만 올 한 해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30조7000억원 중 6조원에 달하는 돈을 조달하기가 힘든 상황이었다. 먼저 LH는 토지 등 자산판매대금 으로 17조4000억원, 채권 발행으로 17조원을 조달하고 기금 지원 등에 따라 7조6000억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이에 기타 수입 3조3000억원을 포함해 총 45조3000억원의 돈을 마련해 사업비 30조7000억원을 투입하고 원리금 상환 등에 11조4000억원을 소모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기존 자산판매실적 등으로 미뤄볼 때 신규 판매 회복에는 한계가 있고 PF 부실에 따른 기판매분의 대금 회수도 어려울 전망이다. 채권 발행액도 총 57조원을 발행한 상태이며 올 한해 17조원을 더 발행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재 LH는 2월말 현재 1조7000억원을 자산매각대금으로 회수한 상황이며 채권도 1조6000억원 가량 발행한 상태다.

이에 정부는 6조원의 자금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안과 민간합동 보금자리주택 건설 등 사업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이날 발표했다.

LH관계자는 "이번 지원책이 직접적인 재정 지원이 아닌 간접적인 재원 마련책으로 분석된다"며 "사업비 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어 "경영정상화를 위해 각고의 노력을 펼칠 계획"이라며 "국민의 성원과 지원에 힘입어 정상화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겠다"고 다짐했다.
[LH지원] LH 재정상태 얼마나 심각하길래? 원본보기 아이콘




황준호 기자 reph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