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급등에 식품 가격 역대 최고 기록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중동발(發) 유가급등으로 식품가격도 역대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유가는 농기계 사용, 곡물 운송 등에 들어가는 곡물 생산비용과 직결되기 때문에 유가가 오르면 식품값도 덩달아 오르게 된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의 3일자(이하 미국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국제연합(UN) 산하 식량농업기구(FAO)는 이날 55종의 식품가격을 종합한 식품가격지수가 2월 236포인트를 기록, 전월에 비해 2.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08년6월 기록했던 224.1을 웃도는 것으로, 1990년 통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다.FAO는 “북아프리카와 중동지역의 민주화 시위의 영향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농작물 생산비용이 동반상승해 곡물과 육류의 가격이 올랐다”면서 “원유 시장의 변동성이 증대되면 식품 가격이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FAO는 올해 곡물 수급 균형이 깨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FAO는 올해 세계 곡물생산 전망치를 지난해 12월 전망치 22억t에서 800만t 상향조정했지만 곡물 소비 전망치 역시 1800만t 올려 잡았다.

식품 가격이 2050년까지 계속해서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FAO는 2010~2050년 사이에 식품 생산량은 70% 가량 증가하는 데 그치는 반면 인구는 90억명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곡물 생산국들이 자국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수출 중단 조치에 나선 것도 식품 가격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지적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옥수수, 보리 등의 곡물을 오는 6월까지 수출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미얀마 정부도 4일 쌀 수출 금지 조치를 내렸다.

전문가들은 “자국 이익을 위해 농작물 수출을 금지한다면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특히 식품 수출 금지로 자국의 식품 가격을 안정화시킬 순 있지만 다른 물건 값에 영향을 미쳐 다른 부문에서 인플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우려했다.

데이비드 할람 FAO 시장 및 거래 담당자는 “국제유가가 뜻밖의 이유로 상승하면서 식품 시장의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앞으로 식품 가격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