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신도시' 개포 재건축, 서울시 일단 '제동'

[아시아경제 정선은 기자]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가 강남 재건축의 '바로미터' 개포지구의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보류했다.

서울시는 9일 열린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강남구청장이 결정(변경)을 요청한 '개포택지개발지구(공동주택) 제1종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보류시켰다고 밝혔다.건축위는 보류배경으로 ▲소형주택(장기전세주택) 확대방안 ▲허용용적률 인센티브 적정여부 ▲공원 연접부 고층 배치에 대한 적정여부 등의 검토필요성을 들었다.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은 강남구 도곡동·개포동·일원동 일대 393만7263㎡에 총 2만8704가구의 노후 아파트 단지로 구성된 개포지구를 4만815가구 '미니신도시'로 재건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포지구는 지난해 11월 이미 저층단지는 용적률을 최대 250%, 고층단지는 최대 300% 범위로 완화하는 내용으로 주민공람을 마치고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에 대한 서울시의 최종 결정을 기다려 왔다.지구단위계획 변경안 불발에 대해 시장은 아직 두고보자는 반응이다. 개포지구 굿모닝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신규상정된 안건이기는 했지만 어제 오후 8시께 변경안 통과가 불발됐다는 소식에 개포지구 인터넷 카페 등에서 주민들의 실망글이 올라왔다"며 "서울시가 보류한 이유가 무엇이고 얼마나 걸려야 할지에 따라 실망매물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구단위계획안 통과에 대한 기대로 개포주공 1단지 경우 호가가 전용 36㎡는 지난해 10월보다 4000만~5000만원, 42㎡은 6000만~7000만원 정도 올랐다.

호가가 오르면서 매수세는 뚝 끊긴 상태다. 설 이전 개포주공 1단지 42㎡가 8억1500만원에 거래된 것이 마지막이다. 이 관계자는 "변경안이 불발된 만큼 오늘 나가보면 매도자 문의가 많았던 어제와는 대비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번에 보류판정을 받으면서 강남구청은 당장 다음주부터 다시 보완·검토를 거쳐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 재상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는 매주 위원들을 모아 개최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격주에 한번씩 치러지는데 다음회의는 23일이다.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변경안의 경우 소위원회에서 이미 여러번 다뤄졌던 만큼 상정되면 통과 가능성은 높은 편이다.

한편 부동산업계에서는 이번 개포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안 불발이 서울시가 정부의 '1.13 전월세 대책' 의중을 반영한 결과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정부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지역적·시기적으로 일시에 집중되지 않도록 지자체와 협력해 사업 추진시기를 조정하도록 대책에서 밝힌 바 있다. 현재 시도지사에게 조정권한을 부여하는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은 국회에 계류 중인 상태다.



정선은 기자 dmsdlun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