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라 "금리인상, 물가상승 억제 효과 제한적"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해도 이에 따른 물가상승 억제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10일 노무라증권은 "향후 한은이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정책당국의 적극적인 외환시장 개입 가능성, 높은 경제성장률 목표치, 부동산 경기부양정책 등을 감안하면 물가상승 억제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예상했다. 노무라는 "정책당국이 원화강세 억제를 위해 외환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경우 수입가격 상승에 따른 물가상승압력 확대를 억제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정책당국의 경제성장률 목표치(5%)가 높다고 지적하며 "정책당국이 물가안정보다 경제성장에 더 중점을 둘 것이라는 기대가 커질 경우,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장기간 3%를 상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전히 부진한 부동산 경기와 기업경기 둔화도 금리인상 효과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노무라는 "부동산 경기부양을 위한 규제완화를 연장할 가능성이 높다"며 "부실대출 확대 우려로 한은이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 프로젝트를 중단하기 쉽지 않다"고 했다. 한편 노무라는 오는 13일 열릴 1월 금통위에 대해 전문가들의 '동결'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노무라는 "소비자물가가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치 범위를 넘어설 위험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4월 중에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이라며 "단 아직 온건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금통위 멤버가 한은의 느린 금리정상화 속도에 대한 비판을 금리정책 결정에 고려할 경우, 1월중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