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보험 보증 리스크 안전장치 필요

은퇴자들에 적합하지만 주식시장 폭락시 보험사 손실 우려

[아시아경제 박정원 기자]경기와 주식시장 회복에 국내보험사들이 변액보험 판매를 늘리면서 중도인출이 가능하고 보증을 해주는 상품의 리스크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월별 변액보험 초회보험료는 1월 1309억원, 2월 1118억원, 3월 1622억원, 4월 1322억원, 5월 1214억원으로 금융위기시 월평균 400억~500억원에 비해 2~3배 증가했다. 특히, 생명보험사들이 전반적으로 은퇴 시장에 주력하면서 변액연금보험에 일정 수준의 계약자적립금 지급을 보장하는 최저보증이 부가된 상품 출시가 잇따를 전망이다.

중도인출금보증 변액연금보험은 연금 개시 전 기간에는 적립금을 보증하고 연금 개시 후에는 일정한 지급율을 기초로 연금을 지급하는 형태의 보험을 의미한다.

보험연구원은 보험금을 일시금으로 지급받을 경우 노후소득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은퇴가 우리보다 앞서 시작된 선진국에서는 연금연액을 최저보증하는 중도인출금보증 변액연금보험이 이미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금융위기 같은 외부변수로 주식시장이 폭락하면 보험사가 최저보증 조건 때문에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시 미국은 중도인출금보증 상품의 큰 비중 때문에 변액연금시장이 큰 위기를 겪은 바 있다.

현재 국내사들은 최저중도인출금보증 변액연금보험, 최저종신중도인출금보증 변액연금보험 등 두 종류의 연금보험을 판매중이다.

중도인출의 경우 일시납보험료의 6%를 고정 지급하는 형태와 4%에서부터 8%로 지급률이 체증하는 형태 중 선택이 가능하며 10년 연금지급보증기간 후 피보험자에게 지급될 금액은 일시납보험료의 40% 수준이다.

최저종신중도인출금보증 상품은 연금 개시 후에도 펀드가치에 따라 연금연액이 변할 수 있으므로 보증리스크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이에 생명보험회사는 채권형 펀드 편입비율을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은퇴연령을 기준으로 설정된 지급률을 바탕으로 최소한 연금연액을 보증하는 중도인출금보증 변액연금보험은 은퇴 후 소득흐름을 안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보험회사들은 상품의 장단점을 알려 은퇴예정자들의 가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반면 최저보증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보증리스크도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보험사와 감독당국이 준비금 및 위험기준 자기자본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정원 기자 pjw@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