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주DNA]1981년 유제품업계 첫 수출 세계가 인정

지난해 미국 등 20여개국서 1500만달러 실적
중국시장 고급화 전략 적중…공장설립 검토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국내 유가공 제품을 가장 먼저 수출한 곳이 바로 매일유업이다. 매일유업은 지난 1981년 조제분유 6만여 캔을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한 이래 조제분유, 이유식, 음료, 치즈, 두유 등 23개 제품을 20여 개국에 수출해 지난해 1500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올해는 중국시장에서 고급 분유시장이 확대되고 있는데다 중동지역과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 2500만달러 이상의 수출실적을 예상하고 있다.

초창기 수출 과정에서는 우여곡절도 많았다. 독자적인 판매망을 갖추지 못해 무역상을 통해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을 통해 수출을 시작한 매일유업은 파트너의 무리한 요구와 낮은 수익성으로 3년 만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철수하기도 했다.

김 회장은 당시 이 일에 대해 "자사 브랜드가 아니면 적극적인 마케팅활동을 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국제 수출기반을 마련할 수 없었다"고 회고했다.중동지역에서 철수했지만 품질에 대한 신뢰는 남아있었다. 처음 수출했던 제품이 갑자기 없어진 것을 아쉬워하던 한 사우디아라비아 수입상이 매일유업의 제품을 다시 들여오길 원했던 것이다. 1987년 매일유업은 '매일맘마'라는 제품으로 다시 현지 시장에 들어갔다.

당시 중동지역은 글로벌 유가공업체들이 이미 선점한 상황이었지만 매일유업은 새로운 브랜드를 앞세워 차츰 시장을 넓혔다. 그 결과 사우디아라비아 뿐만 아니라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요르단, 예맨, 시리아 지역까지 판로를 확대했다. 철저한 현지 마케팅을 앞세워 매년 1000만달러 이상의 분유를 수출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점유율 20%대로 3, 4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멜라민 파동으로 식품안전에 민감해진 중국 시장 역시 매일유업에겐 기회의 땅이다. 중국 시장에서 고급 분유시장이 활성화되기 전인 지난 2007년 '앱솔루트 ' 브랜드를 처음 출시해 이곳 고소득층, 상류층에게 먼저 인정받았다. 이후 입소문을 타고 제품이 인기를 얻어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수출물량이 늘어난 상태다.

중국 시장에서 '매일유업'이 인정받으면서 지난 2008년에는 칭다오 지역에 요구르트 공장설립을 검토중이다. 이밖에 북미시장과 베트남 시장 등 전 세계 각지에서 그 지역에 특화된 제품을 수출하며 시장을 꾸준히 넓혀가는 중이다.

김 회장을 필두로 한 매일유업의 이같은 노력은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았다. 1999년 농업인의 날을 맞아 정부는 김 회장에게 기업가 최고의 영예인 금탑산업훈장을 시상했다. 이날 받은 금탑훈장은 정부가 농·축산분야에서 산업훈장을 제정한 이래 처음으로 주는 상이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최대열 기자 dycho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