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최저임금 인상 '내수경기 살린다'

[아시아경제 안혜신 기자] 팍스콘 사태로 중국에 임금 인상 러시가 한창인 가운데 주요 도시가 이달부터 최저 임금을 인상했다. 임금 현실화를 요구하는 파업이 전역으로 확산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유럽 재정위기로 수출 둔화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임금 인상은 내수 경기를 중심으로 성장 기조를 유지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최소 9개 도시가 최저 임금을 적게는 20%에서 최대 33%까지 인상했다. 베이징의 월 기준 최저 임금이 종전 800위안(약 14만4800원)에서 960위안(약 17만3700원)으로 올랐고, 허난성의 최저임금은 33% 오른 월 600위안으로 조정됐다.팍스콘 연쇄자살로 부각되기 시작한 중국의 저임금 문제는 최근 들어 혼다·도요타 등의 공장 파업으로 번지면서 국제적 이슈로 떠올랐다. 사태가 확산되자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지난주 기업들에게 "임금 인상을 통해 조화로운 고용 관계를 창출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를 계기로 중국의 임금 인상 움직임이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 지난 4월 인청지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대변인은 올해 20개 이상의 지방정부가 임금을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스티븐 로치 모건스탠리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표는 "중국이 균형 잡힌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개인소득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며, 인상된 후에도 지나치게 낮은 수준의 임금 역시 문제"라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임금 인상을 계기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 경제가 보다 내수경기 중심의 구조로 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취홍빈 HSBG홀딩스 이코노미스트는 "제조 경기 둔화에도 고용 시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고용 증가와 임금 인상이 맞물리면서 민간 소비가 보다 견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역별 임금 인상폭 차이 등으로 인해 지역 간 최소임금 수준 격차가 벌어지는 부작용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허난성의 월 최저임금은 600위안인 데 반해 선전 지역의 최저임금은 1100위안으로, 격차가 약 두 배에 이른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안혜신 기자 ahnhye84@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