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머징 국채·회사채 발행 '봇물' 왜?

[아시아경제 공수민 기자] 올 들어 이머징 마켓 회사채와 국채 발행 규모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27일(현지시간) 금융정보업체 톰슨 로이터에 따르면 올 들어 발행된 이머징마켓의 국채와 회사채 규모가 약 3000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늘어난 것으로, 이 속도를 유지한다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머징 회사채, 국채 발행이 급증한 이유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선진국 시장이 큰 타격을 입으면서 리스크에 대한 투자자의 인식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또 전통적인 주류 시장을 벗어나 투자 기회를 찾으려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이머징마켓의 채권 발행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는 분석이다. 애쉬모어투자운용의 제롬 부스 리서치부문 대표는 “투자자들이 갑작스럽게 이머징 마켓이 안전하다고 느낀 것이 아니라 리스크가 어느 곳에나 존재하며 선진국 시장이라고 해서 무조건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동안 이머징마켓에는 핫머니(단기 투기자금)가 주로 유입됐으나 이번에는 투자 유형도 과거와는 다르다. 투자자들의 위험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현재 이머징마켓에 유입되는 자금이 핫머니가 아니라는 판단이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의 샘 핀켈스타인 이머징마켓 채권부문 대표는 “선진국들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은 이머징국가들의 약 두 배에 달하며, 부채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며 "이 때문에 투자자들이 이머징마켓에 관심을 보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머징 마켓은 선진국보다 금리가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수익이 늘어날 것이며, 거시경제 측면의 위험이 낮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한 "선진국 시장은 높은 부채 부담으로 인해 은행들이 기업들에 대출을 꺼리는 반면 이머징 마켓 기업들은 부채 부담이 덜하다"며 "이머징 회사채가 투자자들에게 좀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고 있으며, 향후 시장 성장 가능성도 높다"고 보았다.

부스 대표는 “대다수 이머징 국가들은 아직 채권 발행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지도 않았다”며 “시장 잠재력이 엄청나다”고 평가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이머징 마켓 국채 및 회사채 투자금을 지난해 3월 33억달러에서 올해 3월 132억달러로 대폭 늘렸다.

핀켈스타인 대표는 “모든 이머징마켓 투자금이 장기성 자금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이머징마켓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공수민 기자 hyunhj@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공수민 기자 hyunhj@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