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협상 결렬 후 '진흙탕 싸움'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6·2지방선거 연합후보 공천 협상이 결렬되자 야권은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진흙탕 싸움을 이어갔다. 야권은 협상 대표단으로 참여해온 시민사회의 '자당 이기주의' 비판에도 아랑곳 않고 서로에게 결렬의 책임을 돌리며 비방전을 펼쳤다.

민주당 김진표 경기도지사 후보는 22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후보 단일화 재협상을 위해서는) 국민참여당과 유시민 후보가 야당과 국민들이 열망하는 통합과 연대에 찬물을 끼얹은 행동에 대한 사과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그는 '유시민 펀드'에 대해선 "펀드 자금이 지출되기 시작하면 선거를 끝까지 가지 않고서는 결국 국가로부터 국고보조금을 받아서 상환해야 되는데 그럼 선거를 끝까지 가겠다는, 소위 야권연대와 통합을 깨는 펀드가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협상대표인 김민석 최고위원도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선 완주로 당의 명색을 연명하려는 것인가"라며 "유시민 펀드가 대박 났다는데 '김중배의 다이아몬드'가 탐이 났는가. 경기도 문제는 유 후보의 사퇴 이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맹공했다.

이에 대해 참여당 유 후보는 "경기지사 문제 때문에 전체 합의가 안 됐다고 말하는 건 사리에 맞지 않는 저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고 타당의 비판을 일축하면서 "전체가 다 합의되진 않아서 결렬되면 지역으로 넘겨서 협상하면 된다"고 재협상을 요구했다.그는 또 "전국 차원의 야권연대가 깨진 것은 경기지사 후보 결정 문제만 있었던 게 아니라 민주당의 호남 기득권 문제도 있었다"며 자신에게 쏠린 시민사회와 민주당의 비판을 반박했다.

그러나 민노당 안동섭 경기도지사 후보는 "야권연대 결렬의 결정적 원인은 경기지사 선출방식에 대한 문제"라며 "유 후보가 경선 룰의 유불리와 상식, 합리성을 묻기 전에 국민적 염원인 MB심판이라는 대의에 서있는가를 다시금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비주류 모임인 '쇄신모임'도 성명서를 내고 "야권연대 결렬은 참여당의 무리한 요구 탓이지만 당 지도부의 무능과 전략부재도 한 몫 했다"며 당 주류와 참여당을 싸잡아 비난했다.

감정싸움이 노골화되면서 야권의 경기도지사 후보 단일화 전망도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후보가 직접 협상에 참여하는 3자 회동도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결렬됐다. 야권은 후보단일화 가능성을 버리지 않고 있지만 전국적인 연대가 실패하면서 발생한 지지층의 실망감을 되돌리기에는 늦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컨설턴트 이경헌 포스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아무리 다른 지역에서 선거연대를 하더라도 경기도에서 김진표-유시민 후보의 문제를 풀지 못하면 전체 선거연대의 성과가 퇴색되고 의미가 없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는 최소한 이달 말 안에 극적인 후보단일화 협상이 타결되어야만 유권자들이 표심을 정할 수 있는 물리적인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달중 기자 dal@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