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중진협의체 6인 인선 완료···순항할까?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한나라당이 세종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중진협의체를 출범시킨다. 지난 주 닷새간 의원총회 논의를 토대로 세종시 해법을 마련한다는 취지다.

그러나 친이계와 친박계간 입장차가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어 절충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때문에 청와대발 '세종시 국민투표안'을 놓고 양 계파간 일촉즉발의 대치를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협의체 구성이 '시간 벌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나라당은 4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최고위원회를 열고 중진협의체 인선 작업을 완료했다. 중진협의체는 당 소속 3선 이상 중진의원들 중 친이계 2명과 친박계 2명, 중립 2명 등이 참여해 '6인 협의체'로 운영된다.

친이계에선 이병석·최병국 의원이, 친박계 이경재·서병수 의원, 중립 몫으로 원희룡·권영세 의원이 포함됐다.

그러나 양 계파간 입장차가 워낙 큰 데다 계파 동수가 참여하는 만큼 단일안을 내놓기가 어렵다는 분석이다. 지난해에도 세종시특위가 구성돼 '세종시 백서'까지 발간됐지만 당내 의견만 나열한 채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만약 협의체가 단일안을 도출할 경우에도 구속력이 없어 실효성 논란이 거듭될 것으로 보인다 .

실제 3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협의체 구성을 놓고 양 계파의 중진의원간 충돌이 벌어졌다. 친박계 이경재 의원이 "의총에서도 결론 못낸 사안을 중진협에서 결론 내릴 수 있다고 100% 믿는 국민이 없다"고 직격탄을 날리자, 친이계 이윤성 의원이 "시작부터 찬물을 끼얹는다"고 반박하면서 냉랭한 분위기가 연출된 것이다.

또 친이계는 수정안으로 당론이 모아지지 않으면 당론 변경 표결을 강행할 태세고, 친박계는 '절충안도 수용 불가' 입장을 보이고 있어 협의체 결론을 양 계파가 수용할지도 미지수다.

친이계 주류의 한 의원은 "단일안이 나오면 좋겠지만 복수의 안이 나올 경우 표결할 수 밖에 없다"며 "친박계가 절충하지 않으면 당론 변경 표결로 가야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친박계 핵심 의원은 "중진협의체가 169명의 의원들의 권한을 위임받은 것도 아닌데 결론을 낼 수 있겠느냐"며 "결론이 나와도 국회의원 개개인의 의견이 있는데 수용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협의체가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친이 주류는 물론 청와대에서도 다시 '국민투표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양 계파간 극심한 분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