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유럽 재정불안 국내영향 제한적"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정부는 7일 그리스를 '진앙'으로 하는 유럽발(發) 금융위기와 관련, "국내 금융시장은 일부 유럽 국가의 재정 위기가 미치는 직접적인 파급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배포한 자료에서 재정 상황이 가장 취약한 그리스의 경우 국내 금융회사의 익스포저(위험노출도)가 지난해 9월 기준 3억8000만달러로 전체 익스포저의 0.72%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익스포저는 대출금, 유가증권, 지급보증 등을 모두 합한 개념이다.서남유럽 국가들에 대한 국내 금융기관의 익스포저는 그리스 0.72%를 비롯해 스페인 0.11%(6000만러), 이탈리아 0.36%(1억9000만달러), 포르투갈 0.04%(2000만달러) 등으로 집계됐다.

재정부는 또 그리스의 재정 불안이 비슷한 상황에 놓인 다른 유럽 국가들로 파급할 경우 유로존(유로화 사용 16개국) 및 국제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우리나라는 이들 나라와 달리 재정상황이 건전한 수준이어서 서유럽 국가의 재정위기로 인한 전염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 적자 및 국가부채는 각각 -2.3%, 35.6% 수준으로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6.9%, 73%보다는 낮은 수준인데다, 우리나라의 작년 경상수지 흑자는 426억달러에 이르고, 또 올 1월 기준 외환보유액이 2736억달러인 점 등을 감안할 때 외부 충격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게 재정부의 설명이다.다만 재정부는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가 국제금융시장과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해 국제금융센터와 함께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필요하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