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일자리 지원체계 ‘중구난방’

“경기일자리센터 설립안 검토 중”…경기청년뉴딜사업장 활용할 듯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경기도의 일자리 지원체계가 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원체계가 각부서별 행정편의 위주로 남발 설치돼 업무상 상호연계 네트워크 부족하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구직자들은 자신에 맞는 적합 지원시스템을 찾아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기능별 기술교육 또는 계층별.분야별 취업지원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취업알선기관은 노동부 16개소, 여성취업기관 11개소, 노인일자리알선 44개소, 시군취업정보센터 46개소, 청년뉴딜사업장 13개소 등 130여개에 달한다.

하지만 경기도와 취업알선기관간, 기관과 기관간 업무상 상호연계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이에 따라 경기도는 일자리지원 서비스를 수요자중심으로 개편하기 위해 ‘경기일자리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안으로는 현재 수원, 의정부, 시흥(기 설치) 등 3곳에 일자리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안으로 기존의 13개 경기청년뉴딜 권역 상담장을 확대개편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의 일자리 지원체계가 계층별, 유형별로 복잡해 구직자들이 자신에 맞는 지원시스테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일자리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