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고 학생수 줄이거나 국제고·자율고로 전환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현재 초등학교 6학년이 고교에 입학하는 2013학년도부터 외국어고는 학급수와 학생수가 대폭 줄어든다. 규모를 줄이지 않을 경우에는 국제고, 자율형 공립고, 자율형 사립고 등으로 전환해야 한다.

또 2011학년도부터 외고, 국제고 등 특목고와 자율형 사립고 입시에서 토플 등 각종 영어 인증시험, 경시대회 성적 등이 전형요소에서 빠지고 입학사정관제가 전면 도입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그동안 존폐를 두고 논란이 됐던 외고를 비롯한 고교 체제 개편방안을 10일 확정해 밝혔다.

개편안에 따르면 외고는 지금처럼 체제를 유지하려면 학교 규모를 학년별 10학급 25명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현재 외고의 학급당 학생수는 평균 36.5명이며 학급수는 대원, 대일, 명덕외고가 12학급, 서울ㆍ한영외고가 10학급 등이다.

학교 규모를 줄이지 않을 경우 2012년가지 국제고, 자율형 공립고, 자율형 사립고 중 하나를 선택해 전환토록 했다. 교육과정은 외고의 설립 목적에 맞게 전공 외국어중심으로 개편되며, 학생선발에서도 교장 추천서를 통해 외국어에 흥미를 갖고 해당 언어 전공 분야에 진로 의지가 뚜렷한 학생들이 선발될 수 있도록 하며, 학교생활기록부의 내신 성적을 전형요소로 할 경우, 전교과 성적이 아니라 영어 성적(중학교 1학년 성적 제외)만 반영하도록 했다.

교과부는 외고 개편과 함께 내년 실시될 2011학년도 고교 입시부터는 특목고와 자율형 사립고 등의 전형방식도 개선하기로 했다.

입학사정관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잠재력 등을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제를 전면 도입해 지원자 전원에게 적용하고, 정원의 20% 이상은 사회적 배려 대상자로 선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토플 등 각종 영어 인증시험, 경시대회 등 선행학습을 유발하는 성적은 아예 중학교 학교생활기록부에서 빼도록 하고 내신은 중학교 2~3학년의 영어 성적만 반영하기로 했다. 영어 듣기평가를 비롯해 학교별 필기고사는 금지되며 교과지식을 묻는 형태의 구술면접이나 적성검사도 할 수 없다.

중장기적으로는 특목고를 포함한 전체 고교의 지원 방식을 현재 전기, 후기 학교 중 한 곳을 골라 지원하는 방식에서 가, 나, 다군의 학교 중 최대 3곳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