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원자재값 내년물가 빨간불

車·가전 상승요인-버스료·식료품 등도 인상 대기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내년 물가에 '빨간불'이 켜졌다. 가전제품과 식품 등 주요 품목 가격이 줄줄이 오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8일 기획재정부와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내년에 철강, 금, 구리, 원유, 설탕 등 원자재 값의 상승 요인으로 자동차, 가전제품, 항공, 식료품, 소주, 전기 등의 가격 인상이 예고되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올해 t당 65달러였던 철광석 값이 내년 4월께는 t당 70~75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자동차, 건설, 가전제품 가격이 동반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전력 소모가 많은 품목에 부과되는 5%의 개별소비세로 인해 대용량 TV, 에어컨, 드럼세탁기 가격이 오르게 된다.

금과 구리 가격의 오름세는 여전할 전망이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내년 금은 온스당 1350달러, 구리는 t당 최대 7700달러까지 올라 귀금속 및 전선 가격 상승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천연고무 값이 올해 초에 비해 두 배 이상 상승함에 따라 한국타이어, 넥센타이어, 금호타이어 등 국내 타이어업계 3사가 내년부터 미국 내 판매가를 5~8%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판매가 인상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항공요금도 오른다. 내년 1월부터 방콕과 싱가포르 등 아시아 지역은 4만 원 정도의 유류할증료가 더 붙는다. 유럽과 미주, 오세아니아 등 장거리 지역은 왕복 2만원 인상된 9만4300원을 유류할증료로 내야 한다.

빵, 아이스크림 등 주요 식료품 물가도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설탕 가격이 29년 만에 최대치인 39%나 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신종 플루 확산으로 인기 폭발인 손세정제와 살균제 제조에 소주의 원료인 '주정'이 대거 사용되면서 내년에는 주정 값 인상으로 소주 가격도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유가 상승으로 인해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그리고 시내버스, 택시,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도 오를 전망이다. 집값의 인상 조짐도 보이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주택 가격은 4% 내외, 전세금은 5~6%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내년부터 정비수가 인상과 자동차보험 손해율 급등으로 자동차 보험료가 오르고 건강보험,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산재보험도 인상될 예정이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