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수출·소비 중심으로 개선추세 유지"

"일부 동행지표 증가세 둔화 불구, 선행지표 호조"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우리 경제상황에 대해 “수출과 소비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개선추세를 유지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국책연구기관인 KDI는 7일 발표한 ‘12월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명절 효과 등 일시적 요인으로 일부 동행지표들의 증가세가 둔화됐으나, 대부분의 선행지표들은 개선추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KDI의 이 같은 분석은 앞서 “경기회복 흐름은 이어지고 있으나, 고용·투자의 개선이 미흡하고 국제금융시장의 불안 가능성이 다시 거론되는 등 향후 경기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다”는 최근 정부의 판단(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보다 현 경기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KDI는 보고서에서 “10월 들어 광공업 및 서비스업 생산 증가세는 둔화됐으나, 전반적인 회복세는 유지되고 있다”며 “소비관련지표들 또한 민간소비의 개선추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올 10월중 광공업생산은 전년 동월대비 0.2% 증가에 그쳤으나 지난해엔 9월에 있던 추석이 올해 10월로 옮겨진데 따른 조업일수 등의 영향을 감안할 땐 4.2%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KDI의 설명이다. 또 10월 서비스업생산은 전년 동월대비 1.5% 증가로 전월의 4.5%보다는 하락했으나, 역시 7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아울러 소비재판매액은 내구재와 비(非)내구재를 중심으로 9월의 전년 동월비 6.6%보다 오른 9.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또 KDI는 “10월중 투자관련 지표들도 다소 둔화됐으나,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선행지표들의 개선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10월 설비투자 증가율은 전년 동월대비 0.3%로 9월의 5.0%보다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기계류 투자가 12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했고, 선행지표인 국내기계수주의 경우 공공부문 수주 급감에 따른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민간 부문의 개선추세는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건설기성액 또한 조업일수와 추석 명절 등의 영향으로 감소로 반전됐으나,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건설수주의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KDI는 밝혔다.

또 수출입동향에 대해선 “11월중 수출입이 꾸준히 회복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무역수지는 전월보다 소폭 늘어난 40억5000억달러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노동시장과 관련해서도 “10월중 취업자 수 증가폭이 1만명에 그치고 경제활동참가율도 0.6%포인트 떨어졌으나, 실업률(계절조정)이 3.4%로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하는 등 고용부진이 서서히 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KDI는 국내금융시장 상황에 대해 “11월말 발생한 ‘두바이 충격’으로 종합지수가 단기적으로 하락했으나 최근 들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전반적인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경제 여건에 대해선 “고용여건 악화에 따른 소비위축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는 등 향후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지만, 각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정책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면서 “국제금융시장도 ‘두바이 충격’ 등 일시적 불안요인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오르고 주요 변동성 지표도 지난해 경제위기 이전 수준까지 떨어지는 등 전반적인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